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서울시 대형 경기장 외부 유휴공간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공공성 평가 연구 / A Study Of Publicity Assessment for Securing Publicity in Seoul Mega Sports Complex Outdoor Underused Space
저자명 김종찬(KIM Jongchan) ; 정진우(Joung Jinwo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08 No.04 (2013-12)
페이지 시작페이지(83) 총페이지(8)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대형 경기장 ; 유휴공간 ; 공공성//Mega sports complex ; Underused space ; Publicit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도심내의 대형 경기장은 많은 면적의 외부 공간을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되는 날은 극히 미비하고, 대형 경기장의 상징성과 유지관리의 효율성만을 위한 계획으로 인해 도시의 중요 공공공간으로의 활용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외부 유휴공간의 공공성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연구방법)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형 경기장과 유휴공간의 이론적 고찰과 외부공간 공공성에 대한 정의를 통해 공공성의 평가 지표를 추출하여 서울시 대형 경기장에 대하여 평가 지표를 적용 분석하였다. (결과)연구결과 대형 경기장의 외부 유휴공간을 위해 접근성, 개방성, 쾌적성, 및 기존 도시와의 연계성 강화를 통해 체류성을 높여, 공공성의 회복을 통해 도심 광장 과 같은 커뮤니티 장소로써 활성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향후 도심 대형 경기장을 신축할 시 인근 상업시설 주민들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한 공론의 장을 마련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해야할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Mega sports complexes, which occupy tremendously big spaces in the city, lose their efficiency as public spaces, not only because they are seldom used for sports games but also because from the beginning, their main function is to maintain the symbolic value of a stadium and the efficiency of managing such as complex. Therefore, intensifying the public use of these under used outdoor spaces is an urgent matter. (Method) This article make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a mega sports complex and its under used space. It then makes an appraisal index of public use, along with a definition of the public use of a mega sports complex. Lastly, it applies the index analytically to the mega sports complex. (Result)The activation of mega sports complexes as part of the urban community, like urban squares, is crucial, as is recovering their value to the public by increasing their usability. This can be achieved by improving their accessibility, openness, amenities, and connectivity with the city. In addition, when a city is in plans to build a mega sports complex, it should consider gathering public opinion by consulting the residents of the nearby commercial area.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월드컵경기장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공간계획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문선욱 ; 양동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2 (2003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