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광장 개방공간 디자인에서 시지각적 연속성에 관한 연구 / 국가상징로·광화문광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Visual Perceptive Spatial Sequence in the Design of Open Squares - Focused on the National Symbol Street, Gwanghwamun Square
저자명 이영주(LEE Youngju) ; 이정교(LEE Joungky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09 No.02 (2014-06)
페이지 시작페이지(9)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연속성 ; 개방공간 ; 광화문광장//Spatial sequence ; Open Space ; Gwanghwamun Squar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도시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물리적 환경의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보행을 위한 개방공간인 광장의 활용이 목적과 기능에 새로운 개념의 장소로서 부각되고 있다. 광장은 보행자와 주변환경간의 맥락관계가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광장의 개방공간 디자인을 위해 '시지각적 연속성'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시지각적 연속성의 논리적 근거를 위해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중심으로 지각요소와 표현방법의 특성을 추출하고, 케빈린치의'형태이미지 5요소'로 공간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국가상징로인 광화문광장을 선정하고 물리적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결과)광장 개방공간 디자인에서 시지각적 연속성은 물리적 구성요소의 형태이미지를 통해 균형, 긴장, 운동에 의한 물리적 요소가 지각되어 연속적 공간체험을 할 수 있도록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광화문 광장은 케빈린치의 '형태이미지 5요소'처럼 각 요소가 구체적으로 존재하여 연속성을 이룬다는 결론을 추출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공간구조에 필요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As the structure of physical environments has grown increasingly complex due to changes to urban life styles, the utilization of squares ? or open places in which people can walk ?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Within the design of squares, it is vital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walker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this point of view, a study on 'visual perceptive spatial sequence' is important. (Method)For understanding the logic of visual perceptive spatial sequence, this study identifies the features of perceptive elements and expressive methods, and classifies spatial types into five elements of figure images based on Rudolf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The nationally recognized Gwanhwamun square is chosen as the object of this study, and the elements of its physical composition are analyzed. (Results)Visual perceptions of spatial sequences in the design of open squares are found to influence consecutive spatial experiences, as the squares' physical elements, which originate from balance, tension, and exercise, are perceived through figure images of the elements of physical constitution. In addition, it is concluded that each element of Gwanghwamun square exists specifically to form consecution like Kevin Lynch's five elements of figure image, and ultimately has a critical influence on spatial structur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한국 도시광장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성기문 ; 류주희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5 n.03 (통권54호) (201306)
광장에 대한 공론의 생성과 공간적 반영
안진희(Ahn, Jin-Hee) ; 배정한(Pae, Jeong-Han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6(통권 제78호) (201612)
행태의 장 개념을 통해 본 도심 내 광장의 이용 및 기능에 대한 연구
최우석 ; 김기호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4 n.1(통권 제55호) (201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