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동주거의 커뮤니티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소규모 계획공동체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se of Community Space in Collective Housing -with a Focus on the Case of a Small-Sized Planned Community Village-
저자명 최현철(CHOI Hyunchul) ; 유진형(YOO Jinhyung) ; 김철중(KIM Cheoljoong)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09 No.04 (2014-12)
페이지 시작페이지(95)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공유공간 ; 거주자참여 ; 소규모 계획공동체//Common space ; Preference of Residents ; Small-Sized Planned Community Villag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도시의 팽창으로 주거공간이 경제성, 기능성 합리성 등을 이유로 고밀도 수직화되고 공유공간이 최소화 되어 이웃 간 커뮤니티의 단절로 다양한 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인간 중심의 커뮤니티가 가능한 모델을 찾고 최근 삶의 질을 중요시 하는 주거 패러다임의 시대적 흐름에 대응한다. (연구방법)먼저 공동주거 공간의 공간적 분류와 범위 그리고 개인과 개인의 소통의 사회적 거리를 알아보고 커뮤니티 형성의 원칙을 사례에 대입하여 분석하여 장단점과 한계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공동주거 공간에서 커뮤니티 활성화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자 한다.(결론)연구결과 커뮤니티 형성이 용이하기 위해서는 공간구조가 수평적 구조로 이루어져야하며 마을 내부에서 자연스러운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결절부의 배치가 필요하며 공용공간이 확장되면서 오히려 개인의 사적공간이 공적공간과 명확히 분리되어야 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Various social problems arise from high-density and vertical residential space, such as economic issues, functionality, and rationality in the wake of urban expansion and disappearance of community caused by diminished shared space. In this light, I researched a model that enables a sense of human community and responds to the current housing paradigm that values quality of life. (Method)First, I determined how to classify collective housing by type of space, scope, and social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individuals. Then,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community formation to actual cases, I performed an analysis to come up with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limitations. Accordingly, I am proposing a direction for revitalizing a sense of community within a collective housing space. (Results)Spatial structure should be horizontal for community formation, and proper placement of the node area is needed for natural meeting places in a town. As common use space has expanded, private space and common space should be clearly allocated.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도심 저층 공동주거의 공유공간의 적용과 유형에 관한 연구
허청(Hur, Choung) ; 박항섭(Park, Hang-Sub)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56호 (201611)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1인가구를 위한 소형집합주거 공간계획에 나타난 주요특성 및 선호
김미경 ; 장은혜 ; 송애희 ; 유진 ; 최지은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 v.2(추계) (2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