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축에 의한 건축 공간 구성방법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and the Composition Method of Architecture space by Axis
저자명 배동식(Dongsik Ba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0 No.04 (2015-08)
페이지 시작페이지(55) 총페이지(11)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축 ; 지각 ; 건축공간 ; 구성방법 ; 효과//Axis ; Perception ; Architecture space ; Composition Method ; Effect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현대문명의 발전은 인류사회를 분화시키고 전문화시켜 놓았으며, 기능의 분리주의에 따라 인간의 시·공간적 연속성을 분단시켜 인간성 상실을 초래하였다. 게다가 다종 다양화된 인간 사회가 요구하는 기호와 기능의 세분화로 인해, 음악·미술·건축과 같은 창조성과 관련된 분야는 하나의 양식을 거부할 정도로 다양성과 복잡성을 띠고 있다. 이러한 다원화 현상으로 인해 현대 건축은 공간구성에서 상호간의 논리적 연계성이 확보되지 않은 채 모순된 입장들이 병존하게 됨으로써 혼돈을 가중시키고 있다. 건축공간에 질서를 부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내적인 질서를 추구하는 축의 구성원리를 파악하여 각 단위공간 및 공간결합시 발생되는 의미의 차이가 축에 의해 체계적으로 구성되는 방법과 효과를 분석하여 공간디자인 계획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인간의 시지각 심리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건축의 형태적 측면이나 외부공간 보다는 내부공간에 있어서 축에 의한 공간 구성의 방법 및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인간 행동의 기준 단계로서 중요성을 갖는 지각심리의 특성을 고찰하여 시지각의 균형과 질서의 특성을 정리한다. 다음으로 건축공간의 지각특성을 통해 공간의 한정과 질서에 대하여 살펴본다. 공간구성에 질서를 형성시키는 원리로서의 축의 개념과 기본요소 및 타 구성원리에 의한 축의 표현특성을 정리한다. 건축공간 구성의 단계로 단위공간에서 바닥, 벽, 천정, 기둥, 빛 요소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고, 질서 형성을 위한 공간 결합 방법을 파악한다. 건축공간에 있어서 축에 의해 구성되는 방법을 원형에 의한 구성과 변환에 의한 구성으로 나누어 각 구성방법을 알아보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나타나는 효과를 건축의 기본목표와도 일치하는 세가지, 즉 기능적, 상징적, 심리적 측면에서의 효과로 분류하여 진행한다. (결과)이와 같은 기준으로 작품분석을 한 결과, 동선에 의한 공간 구성의 효과는 합리적인 원리에 의해 실용성을 중시한 경우에 해당하는 기능적 측면, 즉 공간체계의 효율성, 단위공간의 배분에 있어서 적절성을 이룰 수 있다. 상징적 측면에서는 스케일감에 의한 공간의 심리적 효과를 나타내는 주공간의 창조와 이용자가 목적 공간에 이르게 하는 수단으로서의 내부공간에서의 초점, 기억의 보존과 영속성을 나타내고 있다. 심리적 측면에서는 목적 공간으로 이동시 기존의 인식을 통해 다음의 공간을 예측하여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며, 공간에 위치한 시각적 대상물이나 개구부 또는 빛의 인력에 의해 목적 공간으로의 진입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결론)축에 의해 공간이 구성되는 방법과 효과를 밝혀 건축공간을 질서있게 계획할 수 있는 기본적인 틀을 제시함으로서 현대건축의 다원화, 다양화 속에서 건축공간의 무질서를 방지하고 체계적적인 질서를 구축시키는 방법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The evolution of modern civilization has divided and specialized human society, and has caused loss of humanity by dividing space-time continuity of human. Moreover, due to the segmentation of preferences and functions within this diversified human society, fields related to creativity, such as music, art, and architecture, have also diversified and become more complex, with many types of form. Because of this diversification, there is a great deal of contrariety within modern architecture, with a lack of logical connectivity in space compositions, which can cause chaos.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e data for a Space design plan. As one of the methods used to consider architecture spaces, we refer to the axis composition principle, which pertains to internal order, and analyze the methods and effects of differences in meaning revealed by the axis when unit spaces and combination spaces are used. (Metho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thods used within, and effects of, space composition using an axis for the internal space, instead of applying this only to external space or using the architecture's formative aspects based on visual perception theories. The process used is as follows: By considering percept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hich are significant as they are a standard part of human behavior, we arrange the balance and order characteristic of the visual perception. We then look at space limitations and order with reference to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spaces. We consider the concept of axes as the principle that creates order within space composition, and look at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xes in terms of their basic elements or other composition principles. We also focus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floor, wall, ceiling, pillars, and light within a unit of space as a step of architecture space, and identify the combinations of methods used for order formation within a space. We look at two composition methods using the axis approach, which include circle composition and conversion composition. We divide the effects of these compositions into three parts; that is, functional, symbolic, and psychological aspects, which are considered the basic goals of architectur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work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andards, the effects of space composition by moving line impact the functional aspects, space efficiency, and unit space distribution when practicality is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of the symbolic aspect, it shows the main space creation that indicates space psychological effect by the scale, and as a means for user to get the target space, it has a focal point in internal space, preservation, permanency of the memory. With regard to the psychological aspect, psychological stability is provided when existing knowledge is used to predict the next space when moving into the target space. This facilitates movement into the target space in relation to the entrance area, visual objects located within the space, or light gravitation. (Conclusions) We expect this study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systematic order for architecture spaces, and minimize issues by presenting a basic line on which to plan architectural spaces after clarifying the method and the effect of the way the space is composed on the ax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단면 구성을 통한 공간 내부 경계의 모호성에 관한 연구
임종엽 ; 이홍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4 n.6(통권 53호) (200512)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도서관 건축의 전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배동식(Dongsig B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3 (201706)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관한 연구
박항섭(Hangsub Park) ; 김용성(Yongsung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6 (20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