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전통시장의 공간계획 및 연출에 관한 현황 연구 /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Space Planning and Display of Traditional Markets
저자명 하숙녕(Sooknyung Ha)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0 No.05 (2015-10)
페이지 시작페이지(9) 총페이지(11)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전통시장 ; 공간 ; 계획 ; 연출방법 ; 분석//Traditional Market ; Space ; Plan ; Display Method ; Analysis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지난 100여 년간에 걸친 근대화의 결과로 국내 전통시장은 디자인이 갖는 일상적인 문화적 가치가 심하게 훼손되었고, 부조화로 인해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공간으로 표출되었다. 일상의 문화가 그대로 표현되고 드러나는 것이 디자인인데, 국내 전통시장의 경우 낙후된 시설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시장 환경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외면을 당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가지원 육성사업으로 전통시장이 탈바꿈을 하고 있으며, 나아가 새로운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문화·디자인 분야에 대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마련, 대형마트와의 경쟁력 강화, 지속적인 발전과 개선을 위한 전통시장 프로그램의 보완 및 평가, 시장 환경 개선을 위한 시설물 확충 등을 통해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항목 중 시장 환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시설물들의 연출과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국내외 사례 6곳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다양한 생활양식과 문화를 전달하는 전통 시장을 중심으로 공간의 구성과 연출방법을 통해 디자인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외 전통시장들의 공간계획, 천장디자인, 점포 및 시장입구 간판, 판매대, 상품진열방법, 조명 등을 중심으로 디자인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디자인 현황과 문제점, 나아가 개선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국내·외 전통시장 6곳이며, 국외사례는 문헌이나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자료를 중심으로, 국내사례는 2015년 4월부터 8월 기간 동안 직접 방문과 온라인상의 검색을 통해 발췌하였다. 특히, 조사된 국내사례들 대부분은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살린 대표적인 시장들로써 국내의 경우 국가로부터 사업이 선정되어 일부 사업이 진행되었거나, 앞으로 진행계획 중에 있는 시장들로 선발하였다. (결과)분석결과, 국내사례 경우 모두 기하학적인 공간의 구조로 계획되었으며, 단조로운 색채계획과 개방되어 있지 않은 부스들이 많았다. 또한 한 곳에 많은 종류의 품목 전시로 인해 통일감을 주지 못했다. 또한 높은 천정이면서 대부분 돔 형식의 천창으로 계획되었다. 해외의 경우는 역사와 전통, 과거의 향수를 담아내는 디자인으로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도시의 역사와 오랜 시장의 역사를 알리기 위한 디자인적 요소로는 오래된 건물과 간판, 물품 판매대. 지역색을 표현한 목재와 철재의 사용 등이 있었다. 공간의 계획에서는 기하학적인 구성의 수직적 그리드와 수평적 그리드, 원형, 그리고 구심형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계획하였다. 또한 제품보관방식, 제품판매대에 대한 정비와 청결한 실내 환경의 유지가 잘되고 있었다. (결론) 시설 현대화 지원 사업을 실시한 시장들의 대부분이 전년대비 하루 평균 매출액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국, 다양한 생활양식과 문화를 전달하는 전통 시장 역시, 디자인과 문화적 측면을 충분히 살린 시설의 현대화에 의한 개선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요약2 (Research Background & Purpose)Korea's traditional markets seriously have lost their own everyday cultural values and not in harmony with surrounding spaces, due to modernization for the past 100 years. Everyday culture can be expressed in form of design as it is. However, people have turned away from Korea's traditional markets due to their facilities that fall behind and market environments not in harmony. More recently, our traditional markets are much changing, being spurred by national nurturing projects, improving to cope up with new industrial environment. In order to revitalize our traditional markets, many ways are tried through effective culture/design programs, enhanced competitiveness over hypermarket, supplementation/evaluation of traditional market programs for ongoing development/improvement and extended facilities for better market environment. In this regard, the analysis was made in this study, on six domestic/overseas cases, especially in terms of display and spatial planning of facilities through which market environment can be seen at a glance.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spatial planning, ceiling design, store and market opening sign, display method and lighting were examined in domestic/overseas traditional markets from design perspectives, to further draw the current status of our designs, problems and ways for improvement, in order to look into design trends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and display method especially in traditional markets delivering various lifestyles and cultures, For the analysis, 6 domestic/overseas traditional markets were chosen, to extract data provided by literatures and web sites and through visits in February 2014 for domestic case studies, and to extract data through search and visit during from April through to August in 2015 for domestic case studies. In particular, most of domestic cases included representative markets known as local culture and history, of which national projects have been planned or completed. (Result)In the results of analysis, it was planned as geometric space structure in all domestic cases, and monotone colour planning and unopen booths found in many of them. They failed to give unified feelings due to the display of many items in one spot. In addition, most of them were structured with high and domed ceilings. From overseas cases, they contained designs with their history, tradition and nostalgia from the past, for differentiation. Such design elements include old buildings, signs, stands and wood/steel with local color expressed, in order to inform history of a city and that of a market. From the spatial planning, they planned various forms using geometric vertical/horizontal grid and circular/centripetal figure. In such spaces, the repair and the clean indoor environment of storage methods and selling stands were well maintained. (Conclusion)It was found that there was higher daily average sales amount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most of markets with facilities modernization support project applied. In conclusion, it was also critical element to improve traditional market where various lifestyles and cultures are delivered by making good use of designs and cultural aspects through facilities modernization.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전통시장 유형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상준 ; 송지현 ; 이정수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3(통권 제40호) (201008)
건물형과 가로형이 결합된 도심 재래시장의 재생 디자인 연구
이재석 ; 송하엽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3 n.2 (201310)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전통시장 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이상준 ; 한상욱 ; 이정수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2(통권 제35호) (200906)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