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게스트하우스에서 활용 가능한 한옥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dvantageous Characteristics of Hanok for the Programming of Guest Houses
저자명 문진희(Jinhee Moon) ; 유진형(Jinhyung Yo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0 No.05 (2015-10)
페이지 시작페이지(69)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게스트하우스 ; 한옥 ; 한국성 ; 다양성 ; 가변성//guesthouse ; Hanok ; Korean ; Multiformity ; Variabilit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한국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짐에 따라 매년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여행객 수가 늘어나고, 여행을 통한 문화체험욕구가 높은 개별 여행자가 늘어남에 따라 게스트하우스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게스트하우스는 지역과 동떨어진 호텔과 달리 여행객이 투숙하며 가까이에서 그 나라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며, 다양한 사람들이 만나고 어울리면서 문화를 습득할 수 있는 숙박시설이다. 여러 유형의 게스트하우스가 있으나, 공간에 머무르며 그 지역의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전통 주거건축인 한옥의 개념을 적용한 게스트하우스 공간구성은 방문객에게 한국의 문화와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게스트하우스와 한옥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게스트하우스라는 특수한 공간에 한옥의 해석을 통하여 한국성을 표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이론적 고찰을 통해 게스트하우스라는 공간이 가지는 특성과 함께 각 공간별로 요구되어지는 요소들을 도출한다. 이러한 특성에 접목 가능한 한옥의 개념을 도출하기 위하여 한옥의 개념과 구조,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여 한옥에 잠재되어있는 전통적 가치를 도출한다. 구체적 적용 방법에 대한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성이 잘 표현되었다고 여겨지는 게스트하우스를 지역별로 선정하여 사례분석 틀에 맞추어 비교분석한다. (결과)한옥은 배치형태와 채 나눔에 의해 다양한 특성이 나타난다. 대청과 마당은 서로 연결되어 집의 중심을 이루는 곳으로 사람들이 늘 드나드는 열린 공간이다. 게스트하우스의 라운지에 이를 접목할 수 있다. 라운지는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이어야 하므로 개방성과 다양성이 요구된다. 객실은 다양한 유형과 도미토리로 인해 투숙인원이 유동적이므로 상황에 따른 가변성이 요구된다. 한옥에서 벽체를 대신하며 공간을 분리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가진 창호의 특성을 객실에 접목할 수 있다. 복도와 주방 등의 연결공간은 배치형태와 채 나눔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동선을 활용하여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사람들을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결론)게스트하우스는 숙박시설이며 동시에 문화체험공간이다. 전통은 문화의 축적이며 시대와 함께 변화되고 발전되듯이, 한옥을 해석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그 형태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닌 본질적 개념과 그 안에 숨은 정서를 파악하여 새롭게 풀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한옥의 문화적 가치를 되돌아보고, 한옥과 그 안에 담긴 한국의 정서를 가까이에서 체험하고 습득할 수 있는 게스트하우스의 올바른 계획 방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interest among people about Korea and its cultur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in Korea.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gradual increase in the need for guest houses in Korea. Unlike hotels in remote locations, guest houses provide lodging facilities that are conveniently located so that tourists may experience Korea, mingle with local people, and learn about the culture. There are many types of guest houses, among which th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hanok) is thought to be the most authentic for delivering Korean culture to visitors staying in such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o express Korean identity by analy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guest house and by interpreting the hanok concep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for application in guest house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the elements required for each space would be drawn together, highlighting characteristics of the guest house. (Method) In order to apply certain aspects of the hanok concept to guest houses, the analysis will include concept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hanok, thus capitalizing on its potential value. Therefore, the guest houses where Korean identity is clearly expressed were selected by area for a comparative analysis in line with the case study framework. (Results) Hanok has variou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main floor living room (daecheong) and the courtyard (madang) are connected to form the hub of the house where people come and go. These spaces can be also connected to the lounge of a guest house. As a lounge requires openness and diversity, it should be a space that enables accessibility and various activities for everyone. Room characteristics vary based on the number of guests; among the various types are dormitor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oors and windows from hanok architecture can be combined to divide and connect space, instead of walls. For any connecting space such as a corridor or kitchen, various flows of human traffic can be envisioned to create, arrange, and join spaces to facilitate human interaction. (Conclusions) Guest houses can be used as lodging facilities and as culture experience spaces. As traditions change, it may be more desirable to identify the fundamental model and add a new interpretation to hidden sentiments in interpreting the concept of hanok, rather than simply emulating its conventional style. Through this study, hanok's cultural value and Korean sentiment can be reviewed to determine the correct directions for designing guest houses in which Korean sentiment can be experienced and learned.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한옥 게스트하우스의 공용공간에 나타난 기능적 특성 연구
신은주 ; 김보람 ; 김정 ; 황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15권 2호 (201311)
근대건축물의 적극적 활용을 위한 게스트하우스 계획에 관한 연구
이근혜 ; 오인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 8권 1호 (200605)
청년 쉐어하우스의 공유공간 특성 연구
박정은(Park, Jung-eun) ; 이현수(Lee, Hyun-soo)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1호 (201805)
한국전통문화 개념을 도입한 게스트하우스 계획
이세영 ; 김영석 ; 박찬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v.2012 n.01 (201212)
청년 여행자를 고려한 게스트하우스의 커뮤니케이션 스페이스 특성
안상녕(Yan, Xiang-Ning) ; 류정(Liu, Ting) ; 유단경(Liu, Dan-Qiong) ; 황연숙(Hwang, Yeon-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1호 (20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