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다공성 개념을 적용한 복합 상업공간 활성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mplex Commercial Space Revitalization through Application of the Porosity Concept
저자명 강초이(Cho-ie Kang) ; 유진형(Jin-hyung Yo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0 No.06 (2015-12)
페이지 시작페이지(55)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복합 상업공간 ; 다공성 ; 활성화 ; 발터벤야민 ; 스티븐 홀//Complex Commercial Space ; Porosity ; Revitalization ; Walter Benjamin ; Steven Holl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의 상업공간은 인간의 생활수준의 향상, 주5일 근무제 정착으로 인한 여가시간의 증가로 인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단순히 효용성에 가치를 두던 소비행위를 넘어 문화적 행위를 담는 공간으로써 사용자에게 여가 및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복합 상업공간으로 점차 발전하고 있다. 이에 상업 공간 내에서도 공공성을 띤 영역이 주목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심리적 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공간 간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은 단순히 내부지향적 공간변화와 인간과 공간의 관계성을 배제한 공간변화에 그쳐 그 실효성에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 상업공간 이용 활성화와 공간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다공성(porosity)개념을 바탕으로 연구하고자 하며 기존 복합 상업공간의 공간구성에 다공성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아 이를 바탕으로 비활성화된 복합 상업공간의 장소적 재인식과 향후 지속가능한 복합 상업공간의 공간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우선 복합 상업공간의 개념, 특성, 공간 구성요소를 파악한다. 또한 다공성의 개념과 특성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복합 상업 공간에 적용되는 다공성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다공성 특성을 토대로 다공성의 공간적 특성을 10가지 키워드로 도출하여 복합 상업공간과의 관계성을 검토한 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사례에 대입하여 증명한다. 사례분석은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국내 외 수많은 복합 상업공간 중에서 다공성 특성을 포함하여 공간 활성화를 진행 중이고, 공간과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는 사례를 선별하였다. 국내사례로는 수도권에 존재하는 복합 상업공간과 국외사례로는 미국과 일본의 복합 상업공간을 선정하여 공간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다공성의 공간 특성에 대해 조사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분석결과, 기존의 국내 복합 상업공간은 다양한 용도를 포함하고 있지만 수직적인 동선체계에 의해 이용이 제한적이고 사용자의 접근과 유도가 어렵다. 또한 주변 공간과의 연계성이 낮아 이용의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수평적인 동선체계와 다공성공간의 도입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계획된 국외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국내에 비해 많은 공간이 활성화되었고 다공적 특성이 내포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다공성의 개념과 특성을 통해 도출된 요소들을 반영하여 복합 상업공간을 계획하고 공간을 구성한다면 공간 내에 다양한 관계성이 형성되고 그 관계를 통해 차별성을 가진 특정한 공간으로써 공간적 가치가 부여되어 공간의 활성화를 가져올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Currently, commercial spaces are gradually developing into more complex spaces meeting recreational and cultural needs of the users. Such spaces allow the users to express their consumption tendencies (which emphasize the usefulness of such spaces) as well as cultural tendencies influenced by the improvement of standard of living and the lifestyles changes caused by the five-day workweek culture and the increase in leisure time. Thus, public areas in a commercial space are receiving att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being introduced to satisfy the psychological desires of consumers. However, there has been a continuous dispute over the effectiveness of commercial spaces due to the changes in their interiors that create a gap between those spaces, and due to the spatial changes that undermine the human?space relationship. Therefore, using the concept of porosity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revamp complex commercial spaces, this study analyzes the newly dormant complex commercial spaces and suggests sustainable elements to be incorporated, by analyzing porous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complex commercial spaces. This way, this study offers solutions to the detected problems. (Research method) First,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complex commercial spaces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role of porosity in complex commercial spaces was examined according to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orosity. Ten key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rosity were selected based on which, the relationship of porosity with complex commercial spaces was established. Subsequently, the methods to revamp complex commercial spaces were suggested and applied to actual cases to test their effectiveness. Among several domestic and foreign complex commercial spaces, the ones tha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porosity, were undergoing a process of revamp, and enabled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were selected for a theoretical case analysis. By investigating complex commercial spaces in domestic metropolitan areas and foreign locations in the U.S.A. and Japan, the spatial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porosity were examined. Finally, the analysis findings were extracted as follows. (Results) It was found that domestic complex commercial spaces had various purposes, but their use was limited because of the vertical traffic flow system and the difficulty in approaching and attracting users. Furthermore, those spaces were inadequately connected with surrounding spaces, and hence were hard to use.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horizontal traffic line system and porous spaces. Foreign spaces, which were planned according to this idea, are considerably more functional and porous than the domestic spaces. (Conclusions) In conclusion, planning complex commercial spaces that are characterized by the spatial components and are based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orosity, would help to improve the connectivity among the spaces and revamp them by giving them special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set them apart from other spac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현대건축의 다공성과 반투명성
김하나(Kim, Ha-Na) ; 조용수(Cho, Yong-Soo)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7 No.2 (201710)
스티븐 홀의 복합 프로젝트에 나타난 도시 다공성(多孔性:porosity) 접근 방식과 계획적 특성
김수미(Kim, Soomi)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1 No.05 (201505)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스티븐 홀의 도시주거 프로젝트에서 다공성의 의미에 관한 연구
김현주(Kim, Hyun-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2 No.08 (201608)
벤야민의 다공성과 부산도시건축의 풍경
조용수(Cho, Yong-Soo) ; 박규현(ParkGyu-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7 (20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