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팔림프세스트 이론에 기초한 골목길 유형에 관한 공간리듬 연구 / The analysis of spatial rhythm about side street types based on the Palimpsest theory
저자명 표승화(Seunghwa Pyo) ; 유진형(Jinghung Yo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0 No.06 (2015-12)
페이지 시작페이지(89) 총페이지(11)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 ; 골목길 ; 팔림프세스트 ; 리듬 ; 흔적//Urban regeneration ; An alley ; Palimpsest ; Rhythm ; Trac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길은 도시가 형성되기 이전부터 보행과 같은 이동의 수단으로 형성되어왔다. 산업혁명을 기준으로 과거의 길은 보행자가 스스로 원활한 이동과 판단에 의해 자의적으로 만들어졌었다. 그러나 산업혁명으로 길의 주요 이용자는 자동차가 되었다. 그래서 현대의 길은 자동차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는 구조와 형태를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급진적 발전으로 인해 길의 주요 이용자였던 사람은 도시계획에 의해 자동차의 길을 함께 사용하는 제2의 사용자가 되었다. 도시의 급진적 발전은 보행의 방향과 방법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강요하는 일방적 상호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의 일방적 소통방식은 다양한 도시문제를 야기 시켰다. 인구공동화, 주간인구, 도넛화현상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도시의 범죄율은 높아지고 '도시계획은 편리하고 안전하다.' 라는 증명되지 않은 계획을 사용자에게 끼워 맞추기 식의 도시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도시의 현상을 줄이고자 각 지역에서는 도시재생에 대한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도시의 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길은 도시재생과 함께 연구되어야 하는 중요한 도시의 요소이다. 이 연구는 사용자의 자의적 판단으로 형성된 골목길을 통해 현재의 도시디자인 현상에서 골목길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도시 내의 길을 두 가지 유형인 보행자가 스스로 계획한 길과 도시계획이 계획한 길을 구분하여 길이 갖는 흔적을 연구한다. 팔림프세스트 이론을 흔적연구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골목길과 도시계획으로 형성된 길에서 유·무형적 기억과 흔적이 길에 끼치는 영향을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또한 골목길의 흔적과 공간리듬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맺는지 밝힌다. (결과) 앞서 분류된 두가지 유형의 길은 공통적으로 사용자와 시간에 의해 리듬과 흔적을 갖고 있다. 하지만 골목길에서는 공간리듬과 흔적이 다양하며 가변적이고 돌발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골목길의 리듬과 흔적은 대상공간의 특징이자 지역자산으로 유형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상공간의 도시문제와 음성적 요소를 양성화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계획이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계획들이 기존 도시계획에서 보여 졌던 악순환을 지양하고자 하는 사회적 관점을 뒷받침한다. 또한 도시재생에 있어서 골목길은 공간리듬이 가장 활발하고 유기적인 공유공간으로써 지역의 흔적과 기억을 갖고 있는 주요 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Roads were formed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especially walking, even before cities were built.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roads were planned arbitrarily for and by pedestrians to enable smooth transportation. However,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vehicles became major users. Therefore, modern roads are structured and formed for smooth transportation of vehicles. Due to this rapid development, humans, who were the primary users of roads, have changed into secondary users to allow for vehicl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ities, new directions and techniques of pedestrian walking have been established, which people have been forced unilaterally to follow. Such one-sided urban planning has caused several social problems. Various problems such as "doughnut phenomenon" and increasing daytime population have increased the crime rate in cities, and the unproven claim "Urban planning is convenient and safe" has been used to support the indiscriminate development of cities. To resolve these urban problems, each area is planning an urban regeneration. As blood vessels of cities, roads are important urban components to be studied along with urban regener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alleys, which have been incorporated into urban designs arbitrarily by the users. (Method) To analyze the traces on urban roads, this study classified the roads into those planned by pedestrians and those included in urban planning. Applying the Palimpsest theory as a foundation for trac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angible and intangible memories and traces in alleys and on roads included in urban planning, based on related cases. Further, the correlation between traces in alleys and spatial rhythms was considered. (Results) The abovementioned types of roads are marked by rhythms and traces depending on users and time. However, alleys are majorly characterized by various spatial rhythms and traces, which are variable and accidental. As major characteristics of target spaces and regional assets, these rhythms and traces can transform the alleys as well as fix urban issues and the negative factors affecting target spac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reveal the social significance of urban regeneration plan that replace the vicious circle of previous urban regeneration plans. Moreov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 urban regeneration, alleys are a major asset with regional traces and memories and can be used as shared spaces demonstrating the most active and organic spatial rhythm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화개념을 적용한 골목길 디자인 계획
박의정(Park, Ui-Jeong) ; 최희랑(Choi, Hee-Rang) ; 서혜영(Seo, Hye-Yeong)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18권 2호 (201610)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