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일과 삶의 균형(Work -Life Balance) 향상을 위한 스마트오피스 공간구성의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Space Layout of a Smart Office to Improve Work-life Balance
저자명 김경아(Kyung ah Kim) ; 유진형(Jinhyung Yu)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1 No.03 (2016-06)
페이지 시작페이지(41) 총페이지(13)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일과 삶의 균형 ; 스마트워크 ; 업무환경 ; 삶의 질 ; 업무효율//Work-Life Balance(WLB) ; Smart work ; Working environment ; Quality of life ; Business efficienc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20세기 후반의 급격한 사회 변화와 기술 발전은 업무조직과 방법에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다. 기존의 업무양상과는 전혀 다른 창의적 업무가 나타나게 되었고, 이에 적합한 새로운 유형의 업무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업무환경은 사무실에서 근무자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영향을 주며 사무직 근무자들의 만족도와 업무생산성에 영향력이 있다. 또한 오랜 기간 회사와 일을 우선시하던 한국 근로자들의 가치관이 개인의 생활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른바 일과 생활의 균형(WLB: Work ?Life Balance)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다. 일과 삶의 균형 (WLB)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국가적 기업적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공간이 마음을 살린다는 말처럼 편안하며 일을 효율적이게 할 수 있는 일과 삶의 균형(WLB) 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니즈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 할 수 있는 스마트오피스 공간에 대해서 연구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일과 생활을 균형, 스마트 워크 업무공간의 개념을 조사하고,일과 생활을 균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워크 근무형태를 분석하여 다양한 유형의 업무공간을 연구 하고자 한다. 업무 공간은 협업의 비중과 이동성에 따라 스마트워크 업무공간 계획요소를 유형화하여 제시하고, 일과 삶의 균형 향상을 위한 공간관리, 시간관리, 일 관리를 통해 근무자의 삶의 질, 업무효율에 대해서 제시 하고자 한다. (결과) 스마트워크 업무공간은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수준향상을 통한 조직의 생산성 향상 및 업무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었다. 근무형태에 맞는 유형별 스마트워크 업무공간 Workstation(업무좌석 공간), Co-Working Space (협업공간),Personnel Space (개인적 공간),Communication Space(소통 공간) 공간구성으로 개인적 측면에서는 근무시간의 단축으로 개인의 여가생활, 자기계발을 할 수 있었으며 기업적 측면에서는 근무자의 업무몰입 향상으로 업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결론) 일과 생활의 균형(WLB)을 구현하면서 창의 기반 생산성을 높이자는 스마트워크 업무공간은 향후 생산성 향상에 의지해야 하는 21세기형 기업에는 필수 불가결한 선택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일과 생활을 균형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사례를 통해 다양한 스마트 워크 업무 공간이 근무자들의 투입시간 대비 성과 와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The rapid changes in society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brought about many changes to work organizations and methods. With the introduction of creative work,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any previous type work, there was a need for a new type of appropriate work space. The work environment influences how a laborer conducts work in their work space and can also influence the work satisfaction and work productivity of office workers. Also the work philosophies of Korean laborers that have long prioritized their loyalty to their company and to their work has shifted away to prioritize their personal lives. In other words the movement that requires Work ?Life Balance (WLB) has officially taken place in Korea. WLB transcends the needs and desires of individuals and is a very important concept from a national and corporate point of view. As there is the saying that 'a space can reinvigorate the mind', this research examines smart work spaces that can flexibly adap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work while enabling an efficient and comfortable work setting as a work place that improves WLB.(Method)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ncepts of WLB and 'Smart Work' workspaces, and by analyzing the work characteristics of smart work that can increase WLB,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various types of work spaces.The work space materializes the planning factors of smart work spaces according to the ratio of cooperation and mobility, and this research examines the directionality of the work environment, work satisfactor and increase in WLB.(Results)Through an increase in WLB of the laborer, smart work spaces can strengthen the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of an organization. By providing the appropriate Workstation, Co-Working Space, Personnel Space and Communication Space work space according to required work type, due to the decrease of work hours from an individual laborer's perspective, leisure activity, self development etc. related efficiencies were increased and from a corporate perspective there was an increase in work productivity due to an increase in work immersion of the laborers.(Conclusion)While implementing WLB, the smart work space that has the goal of increasing creativity based productivity is an absolutely necessary requirement to implement in the 21st Century corporation looking to improve productivity.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various smart work spaces influence the output efficiency for time invested while also increasing quality of life and creating a enjoyable and efficient work environment through examination of WLB related case studi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스마트 워크를 실현하는 스마트오피스의 공간프로그램과 특성
박세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16권 1호 (2014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자율적 오피스의 업무환경별 조닝(Zoning) 방안 연구
임도형(Dohyeong Lim) ; 이재규(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1 (201802)
[특집] 오피스 같지 않은 오피스
김주현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5 n.7 (201107)
공유오피스의 커뮤니티 중심 공간 구성 특성
이혜수(Lee, hye-su) ; 남경숙(Nam, Kyung-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1(통권 126호) (2018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재생건축공간을 활용한 스마트오피스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강철희(Kang, Chul-Hee) ; 문호수(Moon, Ho-Su)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18권 1호 (201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