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마을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소규모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 / 일동 마을 커뮤니티 공간'마실'을 중심으로 / Small community space design to revitalize village community - Focused on the Ildong village community space,''MASIL'
저자명 김철중(Cheoljoong Kim) ; 유석환(Seoukhwan Yu)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5 (2017-10)
페이지 시작페이지(155) 총페이지(9)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마을공동체 ; 커뮤니티디자인 ; 가변성 공간 ; 네트워크 ; 다목적 공간//village community ; community design ; flexible space ; network ; multipurpose spac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대도시의 인구 집중 현상과 개인화를 가속화시켰고, 그로 인한 마을 단위의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면서 마을에 대한 소속감 상실, 커뮤니티 활동의 부재, 근린 지역 교류의 단절, 지역문화의 소멸 등 관계지향적인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공동체적 삶의 상실에 따른 개인화 현상은 인간의 기본적인 본성인 더불어 살고자 하는 삶에 대한 새로운 갈망을 추구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마을 공동체와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안산시 일동 마을의 공동체 공간인'마실'을 대상지로 정하고, 마을 공동체와 협업을 통한 커뮤니티 디자인 전개과정을 바탕으로 마을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디자인 개발의 범위는 안산시 상록구 일동 572-2번지 1층 실내공간을 디자인하고, 인접한 지역아동센터와 연계하여 마을 커뮤티니 거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커뮤티니의 어원적 정의와 본질적 의미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커뮤티니 디자인 개념과 프로세스 과정을 분석한다. 둘째, 대상지의 주변 환경과 실내 공간을 맥락적으로 분석하고, 마을 주민의 의견을 수렴는 과정을 바탕으로 주요 공간 요소와 활용 방안을 도출 하였다. 셋째, 주민들과 논의 된 내용을 바탕으로 대상지의 실내 공간을 디자인하고, 이웃한 지역아동센터와 연계하여 마을 커뮤니티 거점공간으로 형성되도록 디자인을 계획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도출 된 결과는 첫째, 도심지 마을에 밀집된 평범한 빌라형 주택을 마을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소자본, 소규모의 마을 커뮤니티 공간구축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둘째, 커뮤니티 디자인개념을 적용하여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지속 가능한 디자인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사용 목적에 따라 가구의 재배치와 공간 구성을 달리할 수 있는 가변성 공간으로 디자인하여, 소규모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지역의 커뮤니티 거점 공간으로서 인식시키기 위해 주변 환경을 적극적으로 연계하고 커뮤니티 장소로 인지되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마을 공동체와 협업을 통한 커뮤니티 디자인 전개과정과 결과물을 제안하고, 마을 공동체 형성을 위한 도심지 주택단지의 소규모 커뮤니티 공간디자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마을 공동체 활성화의 궁극적인 목표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마을 주민이 스스로 소규모 공간을 활용하여 커뮤니티 활동을 하기 위한 가변성 있는 다목적 공간디자인을 제시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modern society accelerated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personalization in large cities, and as a result, the quality of relationship-oriented life is deteriorating, as can be observed in the loss of community spirit as a village, the absence of community activities, and the severance of local community exchanges. The personalization following the loss of community life has created a new desire for the life which is the basic nature of human being. Thus, a discussion about the importance of village community and community space is newly emerging. Therefore, this study was planned to designate "Masil," a community space of Ildong Village in Ansan City, Gyeonggi Province, and utilize it as a village community space for a community design development process in collaboration with the village community. (Method) The scope of design development is to design an interior space on the first floor of 572-2, Ildong, Sangrok-gu, Ansan City, and to establish a community center base space in connection with the adjacent regional children's center. For this, first, this study theoretically considers the etymological definition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community, and analyzes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and procedures.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nterior space of the site in a contextual way, and draws out the main spatial factors and utilization plan by collecting opinions of village residents. Third, based on the contents discussed with the residents, the interior space of the site is designed as a village community center base space in connection with the neighboring regional children's center.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proposed a model to utilize ordinary villas in densely populated downtown villages as village community spaces, suggesting a possibility of establishing small-scale village communities with less capital. Second, by applying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it encourag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enabled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design. Third, it was designed as a flexible space, where furniture and spatial composition could b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use,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small space can be maximized. Fourth, it actively linked the spac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make it recognizable as a local community center base space.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d a community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village communities, and suggested a small community space design model of urban residential complexes for village community formation. This implies that the village residents proposed a flexible multi-purpose space design for community activities by using small spaces themselves in order to realize the ultimate goal of village community revitalization.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공동주택 외부공간과 커뮤니티 활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형언 ; 이동훈 ; 손동욱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1(통권 제61호) (20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