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정성적 선정지표 및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Qualitative Indicators and Methods of Urban Regeneration Activating Areas
저자명 김수연(Kim, Su Youn) ; 정혜영(Cheong, Hye Young)
발행사 한국도시행정학회
수록사항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Vol.30 No.4 (2017-12)
페이지 시작페이지(33) 총페이지(19)
ISSN 1598-868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 정성적 지표 ; 사회경제적 재생 ; 도시재생사업 ; 주민역량//Urban Regeneration Activating Areas ; Qualitative Indicators ; Socioeconomic Regeneration ; Resident Empowerment
요약1 본 연구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시 지역주민의 의지와 역량을 고려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정성적인 측면에서 새롭게 추가되어야 할 지표를 도출하고 지표의 조사 및 분석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석적 지표는 크게 '지역정책'과 '지역역량'으로 구분되었으며 총 16개의 지표를 도출되었다.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이 해당되는 '지역정책'은 연계가능한 계획 여부, 주민참여 계획수립의 경험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주민관계망'과 '지역주민의지'로 구분되는 '지역역량'은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도시재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주민관계망'은 커뮤니티의 내·외 네트워크의 정도를 파악하는 지표이다. '주민의지'는 도시재생사업 추진시 적극적으로 참여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지역의 정체성과 정주의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지역정책'은 사례를 통해 상위계획 및 관련 계획과 연계방법을 제시하였고, '지역역량'은 사례를 근거하여 설문조사방법, 분석방법, 조사범위 등 조사 및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dicators to be newly added in qualitative aspect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evaluation considering the willingness and empowerment of residents when selecting the urban regeneration activating areas. Qualitative indicators are categorized into 'regional policy' and 'regional empowerment', and a total of 16 indicators are derived. The 'regional policy', which related to the upper plans and related plans, can identify whether they can be connected and whether they have experience in establishing the plan in which resident participated. The 'regional empowerment', which is categorized into 'resident network' and 'resident willingness', can determine the socioeconomic urban regeneration potential of residents. A 'resident network' is an indicator that measures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of community. 'Resident willingness' is an indicator to judge the possibility of active participation dur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identify whether it has local identity and settlement consciousness. The 'regional policy' presented the method of linking with the upper plan and the related plan through the case, and the 'regional empowerment' suggested the survey method, the analysis method and the scope of survey based on the case.
소장처 한국도시행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서수정(Seo, Soo Jeong)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정책) : 2015 No.02 (201508)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에 대한 주민-전문가 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강맹훈(Kang, Maeng-Hoon) ; 송혜승(Song, Hye-Seung) ; 이명훈(Lee, Myeong-Hu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3(통권 제81호) (201706)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김혜천 -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 v.26 n.3 (201309)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성은영(Seong, Eunyoung) ; 임유경(Lim, Yookyoung) ; 심경미Lim, Yookyoung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10 (201512)
도시재생사업 유형별 성과지표 중요도 분석
진은애(Jin, Eun-Ae) ; 이우종(Lee, Woo-Jong) - KIEAE Journal : Vol.18 No.6(통권 94호) (2018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도시재생 뉴딜사업 주거지 재생을 위한 정책 개선 방안 연구
유아람(You, Aram) ; 유해연(Yoo, Hae-Ye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12 (20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