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유공간에 나타난 리좀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hizome Space in Sharing Space
저자명 김형자(Hyungja Kim) ; 유진형(Jinghung Yoo)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6 (2017-12)
페이지 시작페이지(21)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리좀 ; 리좀적 공간 ; 사회적 공간 ; 공유공간 ; 관계성//Rhizome ; Rhizome Space ; Social Space ; Sharing Space ; Relationship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는 사람 간의 관계 맺음의 밀도가 낮아져 소통의 부재로 인한 인간 소외 현상과 소속감 상실이 만연하는 반면,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끊임없이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제약된 경계들을 허물어 무한한 창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사회의 이중적 문제의 방안으로 자유로운 참여를 통해 소통의 앙상블을 이루는 사회공간으로 공유공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관계'를 철학적 사유의 근간으로 하는 후기 구조주의 철학자 들뢰즈와 가타리(Deleuze and Guattari)의 사유 체계인 '리좀' 개념이 문제 해결에 중요한 철학적 사유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공유공간'을 위한 '리좀'적 가치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공유공간에서 리좀적 공간 구성 요소와 특성을 연구하여 공유공간의 방향성과 활성화 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 연구 및 문헌 자료를 통해 사회적 공유공간의 필요성과 의미를 연구하였다. 둘째, 들뢰즈와 가타리(Deleuze and Guattari)의 사유 체계인 '리좀'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공유공간과의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리좀적 특성이 나타나는 공간 구성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석을 위한 모형을 구축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의 대상을 도시 공공시설에서 정의하는 공공/문화체육시설 중 사회적 공유공간의 대표적 공간인 학교, 문화시설, 도서관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 비 물질성, 무작위적 연결, 프로그램, 보이드, 경계의 모호함이 리좀적 공간 구성 요소에서 공통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리좀적 공간은 모든 공간 구성 요소가 평균적으로 그 발현이 고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특정 공간 구성 요소의 두드러짐으로 완성되는 공간이 아닌 공간 구성 요소 간의 통합적인 연결성을 가졌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자율적인 활동공간의 앙상블을 이루는 사회공간으로써 공동체(코뮨)의 공유공간은 공간 구성, 동선, 프로그램, 경계의 공간구성 요소 간의 통합적인 연결성을 가진다. 이러한 사회적 공유공간은 누구나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리좀적 공간으로 타자에게 접속하기 쉽고 개방된 공간이며 다양한 기능이나 목적으로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적 관계를 위한 공유공간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는 공간 특성으로 공간의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the prevalence of phenomena, such as human alienation and loss of a sense of belonging brought on by a decrease in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a lack of communication, while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demands continuous change and infinite emergence, along with the destruction of restrictive boundaries. The sharing space, a social space where social assembly is encouraged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is proposed as a measure to address such paradoxical problems. Rhizome is also a philosophical concept developed by post-structuralism philosophers, Deleuze and Guattari, and used as a thought framework to describe "relationship" as an important concept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value of rhizome in the "social sharing space" and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orientations and activation strategies of sharing spaces by identifying rhizome spac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haring space. (Method) First,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were reviewed to validate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social sharing space. Seco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hizome and their relationship to sharing space were discerned. Third, spatial elements that displayed rhizom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an analytical model was developed and case studies perform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Results) Case studies were limited to schools, cultural facilities, and libraries, representative social sharing spaces in public and cultural/athletic facilities defined within the urban public facility syste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composition of rhizome space were non-materiality, random linkage, programs, voids, and boundary ambiguity. It was also shown that the rhizome space possesses all spatial elements in equal measure, meaning that the space is one that isn't completed by a prominence of a specific spatial element but through integrative linkage between spatial elements. (Conclusions) Thus, the sharing space is communal as a social space, where integrative linkages among spatial elements, such as spatial composition, moving routes, programs, and boundaries are recognized among the set of spaces dedicated to voluntary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se social sharing spaces are rhizome spaces, where each agent visits voluntarily, access to others is open and easy, and spatial extensions for various purposes are permitted. This is expected to add value to a space as a place that promotes sharing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특집] 건축가의 사회적 역활과 책임
박성태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41 n.1 (199701)
`리좀` 개념에서 본 현대 공공공간의 특성 및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김은주 ; 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1 n.6(통권 95호) (201212)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