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국내 라이프스타일 호텔에 사용된 공간별 마감재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Finishing Material in Lifestyle Hotel
저자명 이규홍(Kyuhong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6 (2017-12)
페이지 시작페이지(35)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라이프스타일 ; 호텔 ; 마감재 ; 콘텐츠 ; 공간//Lifestyle ; Hotel ; Material ; Contents ; Spatial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밀레니엄 세대의 등장, 혼텔족의 증가, 여성의 경제적 능력이 높아짐에 따라, 호텔에서 휴식과 여가를 즐기려는 소비층을 타켓으로 버젯(Budget)호텔에서 출발한 라이프스타일 호텔이 전 세계적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새로운 경험, 다양한 문화 추구에 가치를 두는 라이프스타일 호텔은 과거 대형 브랜드, 부티크 호텔들의 고급스러운 마감재에서 벗어나, 편안함, 콘텐츠를 중시하는 마감재를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라이프스타일 호텔에 대한 공간 분석 및 마감재에 대한 분석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호텔에 사용된 마감재를 공간별로 분석하고 향후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라이프스타일 호텔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좀 더 차별화된 콘텐츠를 지닌 라이프스타일 호텔에 대한 미래지향적 접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 연구 및 문헌적 자료를 토대로 라이프스타일 호텔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다. 국내 라이프스타일 호텔에 마감재 분석을 위해 국내 호텔 현장 조사와 사진 촬영, 근접거리에서 육안 검색을 통한 대상물을 파악하고 관계자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공간별 콘셉트 및 그에 따른 마감재 특성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과거 호텔들과 차별화된 마감재의 경향을 연구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현재 국내 라이프스타일 호텔이 급부상 시점인 2014년대 초반부터 개관한 호텔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발생 및 분포도가 높은 서울, 수도권에 한정 짓고 그중에서 콘텐츠가 명확한 8곳을 선정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한다. (결과) 국내 라이프스타일 마감재 분석은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먼저 로비, 레스토랑의 공용 공간은 과거 최고급 대리석, 카펫에서 벗어나, 노출구조의 콘크리트, 우드플로링, 벽돌, 타일 등이 사용되었으며 객실은 과거 소음 및 먼지방지를 위해 카펫이 주요 마감재였다면 라이프스타일 호텔은 편안함과 경제성을 고려한 우드플로링, 콘크리트에 우레탄 도장, 카펫 등으로 사용되었다. 그에 반해 벽면은 유리, 패브릭, 스틸 등 다양한 마감재의 조합을 보여준다. 욕실도 대리석에서 벗어나, 실용성과 편안함을 강조하는 화이트 타일 사용이 주를 이룬다. 라이프스타일 호텔만의 독특한 공간적 특성을 담은 루프트탑 바(Rooftop Bar)는 나무 합성 목재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마감재를 사용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모든 공간의 천정은 유지보수가 쉬운 도장으로 대부분 마감되어 있었다. (결론) 라이프스타일 호텔은 대부분 과한 패턴과 고급 자재들 보다는 내집처럼 편안한 리빙(Living)공간 콘셉트에 맞춘 합리적인 예산을 고려한 마감재 사용으로 우드 플로링, 콘크리트, 타일, 도장재가 주 마감재로 사용 되었다.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호텔 시장의 변화되는 추이를 살펴보고 국내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마감재 흐름 및 트렌드를 읽어볼 수 있는 척도가 되었으며 추후, 라이프스타일 호텔에 관해 더 많은 연구와 향후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다양한 콘텐츠가 반영된 한국적인 라이프스타일 호텔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economic power of women grows and the millennial generation comes of age, lifestyle hotels are emerging around the world, beginning with budget hotels that target consumers for relaxation, fun, and leisure. A lifestyle hotel that values new experiences and diverse cultural pursuits gives preference to the use of finishing materials that emphasize comfort and content, rather than the luxurious finishes of large brands and boutique hotels. However, recent analyses of the spatial qualities and finishing materials associated with domestic lifestyle hotels are deficient. This study therefore analyzes the finishing materials used in lifestyle hotels according to various space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future lifestyle hotel development that is internationally competitive. Furthermore, it aims to present a futuristic approach to lifestyle hotels that includes more differentiated contents. (Method) The method 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data, as well a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lifestyle hotels. To analyze finishing materials at domestic lifestyle hotels, the study will examine hotel scenery and photographs, and visually search for objects.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lated parties, it will study trends among finishing materials as differentiated from hotels of the past through research, spatial concept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materials. The scope of this study will include hotels opened since early 2014, a period of rapid emergence and growth for domestic lifestyle hotels. All the selected hotels are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where they occur with high frequency and distribution. (Results) The analysis of domestic lifestyle finishes is as follows. First, public areas, such as the lobby and restaurants are distinguished by their use of exposed concrete, wood floors, brick, and tiles, rather than the fine marble and carpeting used in the past. Carpeting was generally used to prevent noise and dust, whereas lifestyle hotels will favor wood floors, urethane coated concrete, and rugs. Walls are built using a combination of various finishes, such as glass, fabric and steel. Bathrooms are also freed of marble; they tend to use tiles to emphasize practicality and comfort. The rooftop bar, a unique spatial characteristic of the lifestyle hotel, features finishes that use synthetic wood for durability. Most of the ceilings are painted. (Conclusions) Most lifestyle hotels use more comfortable and reasonable finishing materials that suit a home furnishing budget as their primary materials, such as wood flooring, concrete, tiles, and various coverings, as opposed to high-quality materials. This study was used as a measure for reading the trends associated with the finishing materials of domestic lifestyle hotels. In the future, this will be the basic data used in the development of an internationally competitive lifestyle hotel in Korea that demonstrates increased research on the hotel itself, as well as its content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라이프스타일 호텔에서 나타난 공간마케팅 특성에 관한 연구
박정은(Jeongeun Park) ; 윤재은(Jea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3 (201806)
공간마케팅의 관점에서 본 도시호텔에 관한연구
차재경 ; 임영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1 n.3(통권 92호) (201206)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안상로 ; 곽규성 ; 최성민 ; 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v.10 n.4(통권 제42호) (20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