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과 체험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pace in Mixed-use Shopping Mall
저자명 오정아(Jungah Oh)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6 (2017-12)
페이지 시작페이지(55) 총페이지(11)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체험 ; 어린이 공간 ; 복합쇼핑몰 ; 공간특성 ; 키즈 마케팅//Experience ; Children's space ; Mixed-use shopping mall ; Spatial characteristic ; Kids marketing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사례조사를 통해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을 살펴보고, 해당 공간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의 유·무형적 트렌드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를 위한 공간 계획 시 참고 가능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상업시설 내 어린이 공간의 개념과 도입에 대해 정리한다. 또한 파인(Pine)&길모어(Gilmore)와 슈미트(Schmitt)의 체험요소 분석을 통해 어린이의 체험적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공통된 키워드를 도출한다. 둘째, 사례 분석대상을 통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개수, 용도, 위치, 인접 테넌트 특성 등)과 어린이 놀이공간의 물리적 환경이나 콘텐츠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대상지의 어린이 공간은 A 쇼핑몰의 실내·외 소규모 놀이터를 제외하고는 모든 공간이 유료시설로 운영되었다. 해당 공간은 대부분 미술, 체육, 블록과 같이 유사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지만 매우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편의시설은 수유실(유아휴게실)과 유모차대여소에 제한되어 있었다. 둘째, 어린이 놀이체험공간의 경우 대부분 특정 층에 집적배치되어 있다. 인접한 매장은 아이나 부모의 패션, 잡화 등의 판매 공간 또는 아이가 체험공간을 이용 시 부모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식음료 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놀이공간의 체험 특성을 살펴보면 체험요소의 수준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A 쇼핑몰이 B 쇼핑몰에 비해 인지성과 충동성 체험요소 수준이 다소 낮게 나타났고, 반대로 심미성 체험요소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결론) 앞으로 복합쇼핑몰의 어린이 놀이공간은 전체 쇼핑몰의 1차적인 집객을 유발하는 목적성 매장으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어린이 공간 인접 매장은 타깃을 공유하거나 연계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매장을 인접배치한다. 무료 놀이체험 공간에 대한 확충 및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편의시설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또한 공유공간에도 타 쇼핑몰과 차별화를 강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감과 조형적 요소를 도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판매 매장의 경우 제품의 직접적 경험을 통한 긍정적 인식 형성은 지속적인 제품 판매 및 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가능하면 매장은 제품을 경험하는 체험마케팅을 실현할 수 있는 장소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of children's space in mixed-use shopping malls, and seeks to analyz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studies. Ultimately, we intend to construct a basic database by deriving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rrent trends in the compound. (Method) The research method encompasses the following: first, we analyze the concept and introduction of children's space within a commercial one th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Second, we extract the common keyword for analyzing children's experiences through their behavior that is based on reviewing experience factors of Pine & Gilmore and Schmitt. Finally, the case study is executed by analyzing the status of children's spatial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xperiential contents of play space. (Results)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is as follows: first, except for indoor and outdoor free playgrounds in case A, all of the space zone of case A and B are operated as paid facilities. Much of the space was based on the similar content, such as art, physical education, and blocks, but consisted of very diverse programs. However, amenities are limited to the infant lactation room (infant resting room) and the stroller rental desk. Second, the children's play rooms are concentrated in the particular floor of shopping mall. Most of the stores adjacent to children's play space are utilized for either sales, fashion goods targeting the kids and parents, or for food and beverage areas where parents can rest while their child is playing. Next, the degree of experience in the play space reflects how the level of the experimental elemen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when compared to case A to B, the level of cognition and impulsiveness experience factors of case A is slightly lower, but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factor is relatively high. (Conclusions) Children's play spaces should play a tactical role as a key tenant that attracts shoppers in the first place. Moreover, the stores that can share the target or cause links should be located near the children's space. Also, the need for expansion of physical space and program for the free play space, and diversific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are needed. In addition, it should emphasize differentiation by introducing various color and artistic elements in shared spaces that can stimulate children's creativity. Finally, for the sale of the product, a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oduct through direct experience can lead to continuous product sales and consumption, the store should be configured to fulfill the role of the place where experience marketing is realized as experience the product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국내 복합쇼핑몰의 가로특성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
박두리(Doory Par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5 (201810)
복합쇼핑몰의 구성요소가 몰링(Malling)체감에 미치는 영향분석
유민태(You, Min-Tae) ; 박태원(Park, Tae-Won) - 국토계획 : Vol.50 No.8(통권 218호) (201512)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나선영(Sunyoung R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2 (201704)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