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1인 주거환경에서 가구의 공간적 확장에 관한 연구 / Study of the Spatial Expansion of Furniture in Single-Person Residential Environments
저자명 이상원(Sangwon Lee) ; 황용섭(Yongseup Hwang) ; 김주연(Jooyun Kim)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6 (2017-12)
페이지 시작페이지(79) 총페이지(11)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1인 주거 ; 소형주택 ; 공간적 가구 ; 공간적 확장 ; 공간 디자인//Single Person Housing ; Small House ; Spatial Furniture ; Spatial Expansion ; Spatial Desig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가족 가치의 변화, 이기주의 심화, 비혼자 증가, 고용불안 및 경제여건 악화 등 다양한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1인 가구가 증가하고 가족 구성원이 적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현대인의 생활 방식 변화와 가구 유형을 반영한 주거 공간의 변화를 요구하며 더불어 1인 주거 환경의 다양성을 요구함과 동시에 효율적 공간 활용을 위한 가구의 공간적 확장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1인 주거환경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디자인 방식 중 공간적 가구, 즉 가구의 공간적 확장에 대하여 의미를 파악하고 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방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출현의 사회적 배경과 1인 가구의 현황을 고찰하고 공간 개념 변화에 따른 효율적인 공간 활용의 필요성을 파악한다. 가구와 공간의 양자적 조건을 충족시키는 공간적 가구의 의미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해 1인 주거 환경에 나타나는 가구의 공간적 확장에 대해 분석한다. 이에 근거하여 공간적 확장성을 통한 1인 주거환경의 공간 디자인의 개념을 정리 한다. (결과) 1인 주거 환경에서 나타나는 가구의 공간적 확장에 관한 분석 내용은 기능적 확장, 심리적 확장, 조형적 확장으로 다양한 모습을 가졌지만, 그 특성의 관계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서로 상호 관계에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 중심의 가구의 공간적 확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구와 공간과의 조화,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유동적 개념이 이루어져야지만 진정한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공간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고정적이고 제한적인 공간을 가구의 공간적 확장으로 다양하게 표현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간적 가구가 다양한 요소와 결합을 통해 확장되며 공간, 가구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통합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가구의 공간적 확장의 사례분석을 통해 1인 주거 환경에서 나타나는 기능, 심리, 조형적 확장은 사용자에 따라 계획되었던 전통적 공간 구성의 양상과는 확연히 다른 방식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인 주거공간은 새롭게 등장한 주거 방식이며, 거주인의 개성적 생활 방식에 따라 다양한 측면에서 파악될 수 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Single-person households are increasing, and the average number of family members is decreasing due to various social factors, including a shift in family values, the intensification of egotism, an increase in the singles population, employment instability, and deteriorating economic conditions. Such tendencies require the reinven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reflect the changes in modern lifestyles and family types, alo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single-perso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research on the spatial expansion of furniture for more efficient usage of space. This study therefore seeks to understand, from the diverse designs found in rapidly increasing single-person households, the meaning of "spatial furniture" or the spatial expansion of furniture, as well as design directions based on case studies. (Methods) The research method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vestigating the social background that led to the appearance of more single-person households, defining their present condition, assessing the necessity of efficient use of space, according to shifting concepts of space, and exploring the purpose of spatial furniture that fulfills requirements for both furniture and space. These activities allow for the analysis of the spatial expansion of furniture that occurs in single-person,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resulting spatial design of a single-person dwelling is organized through spatial scalability. (Results) Although the analysis of the spatial expansion of furniture in single-person residential environments reveals various facets of functional, psychological and formative expansion, property relationships between them are not biased and are formed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To achieve spatial expansion of user-centered furniture, the focus must be on the spatial expansion that exists in the user's life and lifestyle, as well as the changing nature of the user's lifestyle. (Conclusion) In this study, it could be deduced that fixed and limited spaces were being expressed far more diversely through the spatial expansion of furniture. Spatial furniture expands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ous elements, and the lines between furniture and space become blurred as they merge.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of spatial expansion of furniture, it became clear that the functional, psychological, and formative expansion found in single-person residential environments was definite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forms of space organization, which had planned around users. Single residential dwellings represent a new residential style, and they can be found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way each person liv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1인가구를 위한 소형집합주거 공간계획에 나타난 주요특성 및 선호
김미경 ; 장은혜 ; 송애희 ; 유진 ; 최지은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 v.2(추계) (20101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1인 주거 공간 내 가구의 공간적 구축성에 관한 연구
박철현(PARK Cholhyun) ; 김주연(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9 No.02 (2014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1인 주거 특성을 고려한 가구의 통합적 공간기능에 관한 연구
최동민(Dong-Min Choi) ; 유진형(Jin-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5 (201710)
1인가구를 위한 도시형 쉐어하우스의 건축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희원 ; 성민호 ; 유정원 ; 이장범 ; 이기석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6 n.03 (통권61호) (201406)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