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Ando Tadao's Space configuration and Circula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저자명 박항섭(Hangsub Park) ; 김용성(Yongsung Kim)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2 No.06 (2017-12)
페이지 시작페이지(275) 총페이지(13)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안도 다다오 ; 주거 건축 ; 공간 구성 ; 동선 ; 건축적 사고 ; 사례분석//Ando Tadao ; Residential Architecture ; Spatial Composition ; Circulation ; Architectural Thought ; Case Stud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안도 다다오는 초기 주거건축에서부터 그의 건축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한 주택작품으로 건축가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안도는 건축의 시작부터 일본의 전통성과 합리적 모더니즘을 동시에 내포하는 건축을 시도하였으며, 안도 건축의 특징으로는 노출콘크리트, 기하학 구성, 자연의 도입 등을 언급한다. 안도의 주택에는 보편적으로 모더니즘, 노출 콘크리트, 간결한 소재사용과 단순 기하학 구성, 중정과 자연의 도입, 비움과 풍요로움, 비연속적인 동선, 지역성과 인간의 삶, 일본 전통성의 접목, 낭비함이 없는 치밀한 디자인 등이 반영된 안도만의 건축 언어를 내재시키고 있다. 안도의 주거건축에는 건축적인 사고가 투영되어 있으며, 연출적인 공간구성과 동선을 관계시킨다. 본 연구는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역할을 밝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의 연구 및 설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을 조사 분석하여 그에 대한 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안도의 주거를 선별하여 문헌적인 고찰과 다양한 자료의 조사, 부분적인 답사 등을 바탕으로 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특이성을 제시하려 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주거는 안도의 대표되는 주거작품을 단독주택으로 한정하여 연대별과 공간구성의 특이성으로 평가된 주택을 선별하였으며, 그 대상의 주택으로는 스미요시 나가야 주택(Sumiyoshi-Azuma House, 1975-1976), 기도사키 주택(Kidosaki House, 1982-1985), 나카야마 주택(Nakayama House, 1983-1985), 고시노 주택(Koshino House, 1983-1984), 이씨 주택(Lee House, 1991-1992), 히라노 주택(Hirano House, 1995-1996)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의 진행은 첫째, 안도의 주거에 대한 사고를 고찰하고 둘째, 안도의 전반적인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조사와 특징을 제시하며 셋째, 선별된 각 주거별에 따른 사례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며, 끝으로 이러한 과정으로 추출되어진 내용들을 정리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6개의 주택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고, 사례분석에서 추출한 내용들을 공간구성과 동선체계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공간구성은 에워쌈과 내부 중심적 공간, 형태성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하였으며, 동선체계는 외벽과 출입동선,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정리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주택을 공간구성의 특징, 동선의 특징, 주거의 형태성 등으로 구분하여 표로서 종합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징으로 추출한 결론은 첫째, 에워쌈과 개방적 내부공간 연출이고 둘째, 내부 중심적 공간구성이며 셋째, 빛과 공간구성이며 넷째,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삽입이며 다섯째, 외벽과 출입동선의 유도이며 여섯째, 주거건축에 가구의 적극적 도입 등이다.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의 주거공간에 건축적 신념과 공간의 연출과 의도, 자연 등이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 연구 및 설계에 실무적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ndo Tadao became famous by build things based on architectural concepts he learned from early housing construction. From the beginning, Ando attempted to create architecture that simultaneously incorporated Japanese traditions and rational modernism, as well as features of relief architecture, including exposed concrete, geometry and the introduction of nature. Ando's housing embodies his architectural language of modernism, exposed concrete, simple ingredients, and simple geometry, the introduction of nature, the opacity of poverty, the richness of human nature, the ga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he refinement of Japanese heritage. The work of Ando has an architectural mindset that directly relates to spatial composition and transfer.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housing architecture, and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Method) Based on research into and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omposition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s to propose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housing based on research into various materials and research. Houses were screened for housing projects that were designated as single residences, based on detached dwelling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housing and spatial composition, and the homes of the residents of SumiyoshI-Zuuma House, 1975 and 1985 (Kidosaki House, 1982-1985), the Archaeological Site of Nakayama (Republic of Korea), and the Gosino were selected. The research method was to examine the dwelling, and to presen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overall residence of Ando, to derive the overall outcome of the housing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overall housing of the screened out housing according to the screening and analysis of each derived dwelling. (Results) In order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analyzed, and th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ase analysis were analyzed separate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irculation System. The spatial organization was reclassified as bounded by surrounding areas, and was reclassified as the outer area, and the Circulation System was reclassified to the outer walls, the entrance lines, the direction of circulation and the vertical circulation.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se contents, the classification of houses was organiz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ssel, the morphology of the dwelling, etc. (Conclusions) Firs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identified. Seco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interior was identified. Third, the vertical circulation was identified. Fourth, the entrance to the interior of the hous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furniture was done. The study focuses on how to incorporate architectural beliefs and intentions into the residential space of Ando Tadao's residential space, and the ideas and intentions. I hope that these studies will be practical for the study and for designing residential building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알바로 시자의 건축에서 대지 맥락을 고려한 건물 배치 방법에 관한 연구
김연준(Yonj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2 (201804)
안도 다다오 건축에 나타난 기하학적 특징과 자연 요소 분석
김신혜(Kim, Shin-Hye) ; 김창성(Kim, Chang-Sung)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통권30호(v.16 n.1) (201605)
알바로 시자의 건축에서 불규칙 형태 및 평면 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김연준(Yonj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5 (201710)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용성(Kim, Yong-Sung)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56호 (2016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