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치유환경을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사례 분석 / 매기 암센터 주방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Cases of Biophilic Design for Healing Environment -Focused on Kitchens of Maggie's Center-
저자명 박지민(Jimin Park) ; 이재규(Jaekyu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1 (2018-02)
페이지 시작페이지(85)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치유환경 ; 바이오필릭디자인 ; 매기 암센터 ; 주방공간 ; 키치니즘//Healing Environment ; Biophilic Design ; Maggie's Center ; Kitchen ; Kitchenism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암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암 치료 시설들은 생명을 연장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 한편, 건물의 외관과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해 사람들이 혐오시설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암 환자들에게 단순 치료만이 아닌 심신회복을 돕는 복합적인 치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치유공간은 단순 치료를 넘어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통한 심신회복을 돕는 공간을 의미하며, 이에 관련한 대표적 사례로 매기 센터(Maggie's Center)의 주방 공간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이론을 바탕으로 치유 환경으로서 주방 공간의 특성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선 치유환경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해 국·내외 선행 문헌조사와 인터넷 조사를 한다. 또한 매기 센터 주방 공간의 핵심인 Kitcheninsm에 대해 살펴보고 10개의 매기센터를 선정하여 William Browning과 Jenifer Seal-Cramer의 이론을 토대로 자연과의 연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치유 환경으로서 주방 공간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여 매기센터 주방공간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결과) 바이오필릭 디자인 측면에서 주방공간의 특성은 우선 많은 양의 자연광이 실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주로 전창을 사용하고 빛의 양을 조절하는 커튼과 블라인드 사용은 배제하여 창을 통해 시간의 흐름과 계절의 변화를 보며 인간이 자연의 일부임을 느끼게 한다. 둘째, 목재를 주로 사용하고 벽, 가구, 장식 등에 자연색채를 적용하여 정서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한편, 실내 공간에 물리적, 직접적으로 자연을 도입하기 보다는 자연과의 유사함을 통한 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실내공간에서도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실내의 아늑하고 편안한 공간 안에서 거리를 두고 자연을 조망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호받는 느낌을 받게 한다. 마지막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패턴요소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기능을 하며 조화를 이룬다. (결론) 본 연구는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인간의 회귀본능을 바탕으로 Kitchenism의 '공간의 환경'요소에 집중하여 매기 센터의 Kitchenism이 지닌 사회적, 상징적 특성보다 바이오필릭 디자인 개념을 활용한 공간디자인 및 표현요소에 중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치유시설들의 공간디자인 방법론에 본 연구에서 다룬 주방 공간 사례를 적용시킬 필요가 있으며, 향후 치유 시설의 공간 디자인 측면에서 자연과 자연의 일부로서의 인간의 공존, 상호작용 및 균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While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is constantly increasing, existing cancer treatment facilities are still at a level of prolonging their life, and are also perceived as an abomination because of their appearance and negative image. In this context, the importance of combined healing to help the recovery of mind and body?rather than mere treatment alone?is emerging for cancer patients. Healing space refers to a space that helps the mind and body to recover throug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eyond simple treatment, of which the kitchen space of Maggie's Centers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role of kitchen space as a healing environment based on biophilic design theory. (Method) First, we conduct a preliminary literature and internet survey for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healing environment and biophilic design. We also look at Kitchenism, the core concept of the kitchen space at Maggie's Center, and select ten Maggie's Centers in order to analyze the connection with nature based on the theory of William Browning and Jenifer Seal-Cramer. On this basis, we analyze the role of kitchen space as a healing environment and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as applied to the kitchen space of Maggie's Center. (Results) First, in terms of biophilic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 space are mainly used for the introduction of a large amount of natural light into the room?curtains and blinds typically use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are excluded, and people feel that they are part of nature. Second, it uses wooden materials and applies natural colors to walls, furniture, and decorations to provide emotional stability and comfort. It also provides an indirect experience through similarity with nature ?rather than by introducing nature directly into the interior space?thereby enabling people to feel nature in the space. Third, it gives a feeling of being protected from the outside by viewing nature in the distance and from the cozy and comfortable space of the interior. Finally, the pattern elements of the biophilic design complement each other and function in harmony.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elements of "space environment" of Kitchenism based on the human regression instinct to return to nature. It is meaningful due to its focus on space design and expression elements using the biophilic design concept rather than the social and symbolic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ism of Maggie Cen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case of kitchen space covered in this study to the space design methodology of various healing facilities. Moreover, study of this aspect of space design in healing facilities, as well as the coexistence, interaction, and balance of humans as part of nature is needed in the futur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치유개념이 적용된 복합문화공간 사례 연구
임종훈(LIM Jonghoon) ; 전재현(CHUN Jae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9 No.04 (2014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치유환경에서 추모공간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윤여희(Yeohee Youn) ; 이재규(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2 (201804)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위한 형태 도출
심민경 ; 이현수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통권27호(v.14 n.2) (201411)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응용 사례연구
최가영(Choi, Kayeong) ; 이현수(Lee, Hyunsoo)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1호 (201805)
정신건강 치유를 위한 주택 내 바이오필릭 디자인 패턴 적용에 관한 연구
이은지(Lee, Eun-Ji) ; 박성준(Park, Sung-J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2 (201802)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