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어린이집 자연광 유입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Inflow Space in the Daycare Center
저자명 정혜림(Hyerim Chung) ; 이지윤(Jeeyoon Lee) ; 김주연(Jooyun Kim)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1 (2018-02)
페이지 시작페이지(205)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자연광 ; 자연채광 ; 어린이집 ; 영유아 발달 ; 자연채광 디자인 요소//Natural light ; Natural lighting ; Daycare center ; Infant development ; Natural lighting design element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로 맞벌이 가정이 급증함에 따라 가정에서 육아를 전담했던 예전과는 달리 아동 보육을 어린이집에 맡기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면서 0세반이 증가하는 등 보육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인간의 발달에 있어 가장 결정적 시기인 0~6세인 영유아 시기의 물리적 보육환경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수요에 따라 물리적 환경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어린이집의 수만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점차 어린이집 시설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나 자연채광을 통한 빛 환경 조성의 중요성에 대해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영유아 보육 환경에 있어 자연광 유입은 인체의 신경을 자극하여 재실자의 신체와 정서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조건이라 사료되며 이에 본 연구는 자연광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어린이집의 공간별 자연광 유입의 공간디자인에 대한 방향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실내 보육 공간으로의 자연채광의 특성이 어떻게 영유아 운동능력·인지·정서·공간인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어린이집 실내공간에서 자연채광이 적용된 유형을 분류하였다. 첫째, 지각적 요소에 따른 시각성, 둘째, 빛의 유입 방법에 따른 방향성, 셋째, 빛의 질을 통한 물질성, 그리고 넷째, 빛의 양에 의한 명도성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국내 및 일본의 어린이집 각 3곳을 선정하여 공간별 자연채광 디자인 요소 적용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국내와 일본 모두 시각적 특징를 위한 채광에는 우수했으며 방향성에 있어서도 측창, 천창을 다양하게 사용하였지만 일본의 경우 다양한 크기와 위치, 용도로 채광창을 활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반면 국내 및 일본 모두 명도성을 통한 공간의 심도표현이 부족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자연광의 다양한 효과에 대한 인식이 다소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보육 공간으로의 자연광 유입은 영유아의 운동능력·인지·정서·공간인지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어린이집 공간디자인의 기본적인 요건으로 자연광 유입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어린이집 공간 건립에 있어 자연채광에 대한 중요도가 높지 않은 실정으로 본 연구를 통해 유아 공간에서 자연채광이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단독형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앞으로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형의 어린이집 공간에서 자연채광에 대한 공간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economic activity of women increased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dual-income families surged. Therefore, the number of cases where the responsibility of childcare was given to daycare centers has increased due to the nuclearized family. As such, the problem of childcare emerged. According to this demand,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is increasing rapidly despite the physical environment not being properly prepared. Increasing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daycare centers, but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natural light environment is often overlooked. The introduction of natural light into the infant care environment is considered a condition that influences the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each recipient, and thus must be considered in the daycare center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review the effects of natural light on infant development and to suggest a direction of design for the spatial inflow of natural light into children's homes through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s how natural lighting in indoor childcare areas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fants, including their ability to exercise, as well as their cognition, emotion, and spatial awareness. Types of natural lighting applied in daycare center interior spaces were classified. First, the visibility by visual element; second, the direction by the method of light inflow; third, the material by the quality of light; and fourth, the brightness by the amount of light. Based on this criteria, three daycare centers in Korea and Japan were selecte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applied natural lighting design elements to each space. (Results) As a result, both Korea and Japan were found to be good at mining for visual distinctions, but Japan used various sizes, locations, and window heights in their orientation. However, the results show a lack of spatial depth displays through brightness in both Korea and Japan, reflecting poor awareness of the various effects of natural light. (Conclusions) The inflow of natural light into the space of daycare center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natural light is a design factor that must be considered as a basic requirement in daycare center space design. As little importance is placed on natural lighting in the construction of Korean daycare centers,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natural lighting as a significant design element in infant spaces. This study has a limit in its selection of a detached building in daycare center for study; therefore, future research on natural lighting in various types of daycare center spaces is needed.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공립어린이집 디자인가이드라인 설정 연구
김상호(Kim, Sang Ho) ; 여혜진(Yeo, Hae Jin) ; 이여경(Lee, Yeo Kyung) - 연구보고서(기본) : 2016 No.12 (201612)
국내 어린이집 놀이공간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이정원(Lee, Jung-Won) ; 김다은(Kim, Daeun) ; 백수연(Baek, Sooyeon) ; 최소영(Choi, So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6 No.02 (202002)
국공립어린이집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최영식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46호 (201405)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놀이행태 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6(통권 131호) (2018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