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코워킹 스페이스의 제 3의 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hird Place of Co-Working Space
저자명 김재학(Jaehak Kim) ; 이재규(Jaekyu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2 (2018-04)
페이지 시작페이지(79) 총페이지(13)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제 3의 공간 ; 레이 올든버그 ; 코어킹 스페이스 ; 공유 공간 ; 관계분석//The Third Place ; Ray Oldenburg ; Co-Working Space ; Share Space ; Relational Analysis
요약1 (연구 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는 급속 성장의 결과로써 무분별한 재개발로 인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소통의 공간이 감소하여 사회적, 문화적, 지역적으로 많은 문제의식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도시는 잠재적으로 개인적,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제 3의 공간 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한다. 하지만 현대인들이 알고 있는 제 3의 공간에 대한 본질에 대한 이해가 미흡하다고 인식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요구되는 공간의 필요조건을 제시한 Ray Oldenburg의 제 3의 공간 이론에 대해서 올바른 이해를 유도하는데 첫 번 째 목적을 둔다. 또한 Ray Oldenburg의 이론이 실질적으로 국내의 공간에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이론의 정립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제 3의 공간 이론과 상응하는 물리적 공간으로서 사회적 이슈로 주목하고 있는 공유 공간으로서의 코워킹 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이러한 공간이 대중들의 요구에 따라서 생성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Ray Oldenburg가 언급한 추상적 개념의 제 3의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여 이론에 대한 해석을 통해서 제 3의 공간에 대한 본질에 대해 파악한다. 마찬가지로 코워킹 스페이스의 개념을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공간의 구성 및 특징을 도출하여 제 3의 공간과 코워킹 스페이스의 개념적, 특징적 관계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위두 공간의 공간 구성 및 특징을 토대로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제 3의 공간의 특징요소를 도출하여 국내에 알려진 코워킹 스페이스를 선정하여 제 3의 공간 이론이 적용되는지 사례분석을 한다. (결과) Oldenburg가 그의 저서 'The Great Good Place'에서 언급한 제 3의 공간은 내부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위에 있어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했다. 그가 제시한 제 3의 공간의 특징을 중립성, 평등성, 활동성, 접근성 과 적합성, 수용성, 보편성, 유희성, 다목적성 총 8가지로 정리하고 더하여 도출된 특징을 선행연구와 비교하는 과정에서 숫자로서의 차이와 본질적 의미 차이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제 3의 공간이 코워킹 스페이스와 개념적, 특징적 관계에 있어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사례분석을 통해서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제 3의 공간 이론이 전반적으로 적용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결론) 본 연구는 제 3의 공간 이론에 대해서 사회학적으로 접근하여 공간과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추상적 개념의 제 3의 공간이 물리적 공간에 특정한 요소로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를 통해서 제 3의 공간이 현대 사회의 공간적, 지역적, 도시적 접근 시 기능이 아닌 질적 측면으로서 접근하기 위한 규범적 공간 이론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s a result of the rapid growth of modern society, spontaneous redevelopment has reduced the space of communication and raised many social, cultural, and regional problems. Cities are thus mentioned to require the third space, as a potentially private and socially contributing space. However, in recognition of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third space among modern people, this study uses Ray Oldenburg's third space theory, which suggests space requirements as spaces change, as the first objective to provide a correct understanding. In addition, we aim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ory by confirming that Ray Oldenburg's theory is practically applied to domestic spaces. For this purpose, we confirm that such space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public for a co-working space as a shared space, which is a social issue as a physical space similar to third space theory. (Method) We will discuss the third space of the abstract concept mentioned by Ray Oldenburg and elucidate the nature of the third space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In the same way, the concept of a co-working space is examin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hird space and co-working space in terms of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is examined by deriving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ally, bas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two spaces, the elements of the third space appearing in the co-working space are derived, and co-working spaces in Korea are selected to analyze the application of third space theory. (Results) The Third Space mentioned by Oldenburg in his book "The Great Good Place" emphasizes social interaction in internal actions. Eight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proposed by Oldenburg are then summarized: neutrality, equality, activity, accessibility and accommodation, acceptability, universality, playfulness, and versati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umbers and essential meanings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derived features with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space has similarities in terms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to co-working spaces. Through the case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ird space theory can be applied to co-working spaces as a whole.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relationship with space by approaching the third space theory sociologically and to confirm that the third space as an abstract concept can be applied as a specific element of physical space. Third space theory can be applied as a normative space theory to inform the spatial, regional, and urban approach of modern society as a qualitative aspect, not a function.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공유오피스의 커뮤니티 중심 공간 구성 특성
이혜수(Lee, hye-su) ; 남경숙(Nam, Kyung-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1(통권 126호) (2018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코워킹 공간구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혜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2 n.5(통권 100호) (201310)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논문] 세즈마 카즈요의 ‘21세기 미술관’에 표현된 공간형식과 프로그램
송정화 ; 임채진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13호 (20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