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간시퀀스에 영향을 주는 빛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of Light Affecting Spatial Sequence Based on Analysis
저자명 김영진(Youngjin Kim) ; 김주연(Jooyun Kim)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2 (2018-04)
페이지 시작페이지(161) 총페이지(9)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공간 ; 시퀀스 ; 빛 ; 요인 ; 특성 ; 환경//Spatial ; sequence ; Light ; factor ; Characteristics ; environment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 계획에 있어 시각적인 의미에 대한 부여 및 전달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공간에 대한 시점에 따라 시퀀스를 경험하게 되므로 공간을 체험하고 경험한다는 것은 공간영역에 대한 의미를 전달 받는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공간의 시퀀스와 빛 환경에 대한 영역은 많은 연구의 필요성을 대두시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공간시퀀스와 빛 요인에 대한 연구내용이 부족하며 공간시퀀스에 영향을 주는 빛 환경 요인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시퀀스와 빛환경에 대한 주제로 선행 연구된 학술적 연구논문을 항목별로 분석하여 향후 공간시퀀스와 빛 요인에 대한 세분화된 요인을 연구할 필요성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적인 측면에서 자료의 정립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국내에서 공간시퀀스와 빛 요인을 주제어로 하여 선행 연구된 학술 논문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하고 조사된 사이트를 기반으로 수집하여 학술적 연구논문의 범위로 설정하여 분석 및 종합하였고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공간시퀀스와 빛 요인의 주제를 항목별 분류 및 세부 내용을 구분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연구를 통하여 공간시퀀스와 빛 요인에 대한 연구측면에서 인체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신체의 요소와 시지각에 의한 연구내용에 대한 부분이 중요하였고 특히 체험을 공간 시퀀스의 빛 요인의 복합적 요소와 연관 지었으며 공간구문 및 조망 빛 요소에 의하여 공간시퀀스의 빛 요인 측면에서 연구에 대한 영역과 내용을 분류하여 향후 종합적인 빛 환경을 요소화하여 세부적 연구를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결론) 공간시퀀스와 빛요인의 관련성 있는 연구 내용을 통하여 공간시퀀스는 빛 요인에 의하여 인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인지적 측면에서 빛환경 실험 연구가 매우 필요하며 인체에서 인지하는 자연광원인 빛이나 인공광원인 조명에 의하여 발생하는 시지각적인 영역에 대한 연구 내용을 추가 연구해야 한다는 사실이 종합되어 향후 연구에 있어서는 빛 요인인 인공광인 조명과 인체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In space planning, granting and conveying visual meaning are very important, and we experience a sequence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of space. Thus, experiencing space means receiving the meaning of the space area. In this respect, the area for the sequence of space has created the necessity for considerable research. Whil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the space field, the contents of research on sequence focus on the space plan or components, requiring research on other factors that affect the spatial sequ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a database on spatial sequence by summarizing the theories of scholars who have previously studied the subject of spatial sequence and analyzing academic research papers by item to subdivide the sequence field in the future. (Method) Regarding the scope of the study, we collected and analyzed academic research papers in Korea with spatial sequence as a keyword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site of the papers. For the research method, we applied the method of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subject of spatial sequence by item and in detail. (Result) In terms of research on spatial sequence, much of the research content focused on factors related to the human body and visual perception, and in particular, many studies focused on experiences with the complex factors of space. It was also found that spatial sequences are classified into types, and research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is concurrently being conducted to present an index by referring to the subject or spatial form. (Conclusion) Since spatial sequences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human body owing to light factors, according to related research on spatial sequences and the light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study light factors experimentally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In future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ody illumination and artificial light, which is a light factor, should be examined.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안도 타다오 건축의 외부공간에 나타난 진입시퀀스의구성방식
문정민 ; 안우진 ; 고성룡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NO.29 (200112)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빛 연출을 통한 문화시설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조능혜(Zhao, Linghui) ; 이재규(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5 No.03 (202004)
피터 줌터의 작품에 나타난 재료와 빛의 공간적 영향에 관한 연구
김자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5(통권 88호) (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