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 가로의 범죄예방 디자인요소 연구 / Research on Crime Prevention Design Element in Multiple-Household Residential Street
저자명 최우철(Woochul Choi)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3 (2018-06)
페이지 시작페이지(117) 총페이지(13)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범죄예방디자인 ; CPTED ;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가로 ; 공공디자인 ; 거리디자인 요소//Crime Prevention Design ; CPTED ; Multiple-Household Residential Street ; Public Design ; Street Design Element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성범죄를 비롯해 각종 강력범죄가 발생함에 따라 범죄 위험에 불안을 느끼는 시민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의 골목 거리는 시민들이 매일같이 거닐고 활동하는 곳이나, 범죄의 두려움?불안감과 불필요한 오인?오해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지자체별 CPTED 관련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CPTED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부족하고 물리적 개선작업만 수행되어 시민들의 방범 개선 체감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 가로의 범죄예방 디자인 요소를 설정하여 실질적 개선사업 수행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거리/가로/공공공간 범죄예방연구, 거리 디자인요소 개발 연구, 다세대?다가구 주택 연구 등의 관련연구와 CPTED 구성원리 및 관련 법규 등의 이론적 고찰, CPTED 사업 사례지를 종합 분석하여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가로의 범죄예방 디자인요소를 제시한다. 실질적인 실증사업 적용을 위해 건축물 및 거주자 비용발생요소는 배제하고, 지침 역할로써 시각적요소, 건축적요소, 사회적요소로 구분하여 거리개선 디자인요소를 제시한다. (결과) 선행연구, 가이드라인/지침/법규, 사례 등을 통해 주거지역가로 범죄예방디자인 요소를 크게 시각적요소, 건축적요소, 사회적요소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자연적 감시, 영역성 강화, 접근 통제, 명료성 강화, 활동 활성화, 유지관리 등 CPTED 구성원리를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CPTED 실증사업을 고려하여 세부요소별 디자인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인 범죄예방 시설물 설치 위주의 시각적 요소(도로, 조경, 안내, 조명), 건축물 이격공간 활용 및 필로티형 주차공간 개선 등을 위한 건축적 요소(건축물, 주차장), 안전지킴이집, 쓰레기 적치시설, 커뮤니티시설 등 지역유대 및 이웃신뢰도 향상을 위한 사회적요소(공용시설, 용도 및 배치)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범죄에 취약한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 가로를 대상으로 CPTED 실증사업이 고려된 범죄예방 디자인요소를 제시하였다. 해당 디자인 요소를 기반으로 범죄예방이 필요한 지역의 체크리스트를 설정한 후 지자체별 자체 점검 및 개선사업을 진행하면 그 효과가 크고 효율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보안스크린, 비상전화부스 등 ICT기술을 접목시킨 면목동 범죄예방디자인 사례와 같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지능형 방범 연구사업 등과 연계하여 기초조사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리적 유해환경 지도(시각자료)를 제작하는 등의 범죄예방을 위한 방범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CPTED 사업 추진을 위한 재정방안, 추진체계 등 정책적 대안 연구과 복합적이며 상호관계성을 갖는 도시공간 구조를 고려한 복합적 유형화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범죄예방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Violent crimes such as sex crimes and random street assaults, have been on the rise of late. So citizens who fell uneasy about crime risk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the streets of multiple-household areas caused fear, anxiety and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of crime. Although CPTED-related projects are being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pproach to CPTED, and only a physical improvement work is carried out. So citizens' feelings are very lo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rime prevention design element of multiple-household residential street and lay the basis of practical improvement project. (Method) This study set the CPTED street improvement design element using crime prevention research(street, public space, etc.), CPTED theoretic consideration (composition principle, related laws, etc.), analysis case.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demonstration project, it excludes the element of building and resident cost. As a guiding role, we derive distance improvement design elements by dividing into visual elements, architectural elements, and social elements. (Results) In this study, the crime prevention design element in multiple-household residential street were set into visual elements, architectural elements, and social elements through prior research, guidelines, laws, and cas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CPTED street improvement element applying to CPTED composition principle such as Natural surveillance, Territoriality, Natural access control, Legibility, Activity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As a result, in view of the CPTED demonstration project, this study was analyzed as the visual elements of physical crime prevention facilities installation(roads, landscaping, guidance, lighting), architectural elements(architecture, parking lot) for the utilization of space apart from the building and improvement of the parking space of the pilotty type, social elements(public facilities, use and disposi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local ties and neighborhoods such as safety guard houses, garbage compartment facilities, and community facilities. (Conclusion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ractical crime prevention design element of the streets of multi-family housing areas considering the CPTED demonstration project.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will be large and efficient if the self-inspection and improvement projects are carried out by the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relevant design elemen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curity service to produce safety map based on the data acquired through the basic investigation i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crime prevention research projects which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as with case study in Myunmok-dong(ICT technology, including security screens and emergency phone booths). I expect that future research related to policy alternative research such as financial measures/organization system and to complex typification study considering interrelated urban spatial structure will be conducted, and efforts to prevent crime will continu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국내 · 외 선행연구를 통한 CPTED 범죄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임동현(Dong-Hyun Lim) ; 이유미(You-Mi Lee) ; 강부성(Boo-Seong Kang) - 한국셉테드학회 논문집(커뮤니티 안전과 환경설계) : Vol.1 No.2 (201011)
도시형생활주택의 범죄예방환경설계 계획을 위한 국외사례 조사 및 분석
정윤혜(Jung, Yoon-Hye) ; 이유미(Lee, You-Mi) - KIEAE Journal : Vol.18 No.1(통권 89호) (2018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지방도시 대학가 1인 가구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안혜진(Hae-Jin Ahn) ; 강석진(Seok-Jin Kang) - 한국셉테드학회 논문집(커뮤니티 안전과 환경설계) : Vol.7 No.2 (201611)
건축물 범죄 안전 디자인 성능에 관한 연구
조영진(Cho, Young Jin) ; 김용국(Kim, Yong Gook) - 연구보고서(기본) : 2016 No.01 (201610)
범죄예방 환경조성을 위한 범죄위험평가 도입 방안 연구
조영진(Cho, Young Jin) ; 조상규(Cho, Sang Kyu) ; 김승남(Kim, Seung Nam)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4 (201510)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대학가 주변 1인가구의 주거환경 실태조사 및 범죄불안감 연구
안은희(An, Eun-Hee)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9 No.4 (201808)
CPTED 평가지표를 반영한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의 범죄예방디자인 연구
최우철(Woochul Choi) ; 나준엽(Joonyeop N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5 (20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