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체험형 전시공간에 나타난 공간적 표현 특성 연구 / 2018 하우징브랜드페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expression features of experience-type exhibition space: Focusing on 2018 Housing Brand Fair
저자명 정연주(Yeonju Chung) ; 이성재(Sungjae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3 (2018-06)
페이지 시작페이지(209) 총페이지(11)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체험형전시 ; 전시디자인 ; 전시기법 ; 공간디자인 ; 산업박람회//Experience-type Exhibition Space ; Exhibition Techniques ; Space Design ; Industrial Exhibitio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현대 디지털 기술의 융복합화와 더불어 이를 향유하는 사람들의 수용 능력 및 니즈 또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체험자가 한정된 공간 안에서 특정 정보를 전달하고 수용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특히 체험형 전시공간에서 그 예를 들 수 있다. 체험형 전시는 일반적인 전시와 달리 체험자가 콘텐츠로부터 능동적인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일상에서 느끼기 힘든 새롭고 자극적인 경험과 삶의 환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체험형 전시의 영역 확대는 박람회로도 이어지고 있는데 이는 타깃층의 다양화에 대응할 전시 기획과 퍼포먼스 전략이 요구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며 나아가 해당 산업 분야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획기적인 프로그램으로써 해당 무역전시회의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다. 이에 본 디자인에서는 2018하우징브랜드페어를 통해 체험형 전시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건축, 인테리어, 리빙산업 분야의 공통적, 핵심적 키워드인 공간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과 고민, 가치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작품에서는 공간의 본질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성찰을 유도하고, 전시 콘텐츠를 통해 감성적 가치와 경험을 제공하여 관객들로 하여금 공간에 대한 개념을 자율적 향유를 목표로 체험형 전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디자인 진행방법으로 첫째,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체험형 전시의 유형과 매체의 구성요소와 연출방법의 연구를 통해 이해의 폭을 넓게 하고 유사 사례를 분석하여 흥행성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디자인 방향 설정에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둘째, 현황분석으로 전시 컨벤션 센터인 코엑스와 전시 주최사인 리드엑스포의 역대 박람회 관람객 수를 산출하여 전시관을 둘러싼 조건과 환경을 분석하였다. 셋째.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로써 전체적인 전시 컨셉을 설정하고 전시 스토리라인과 공간연출, 세부 내용에 따른 평면과 동선계획을 진행하였다. 특히 스토리라인과 연계된 각 코너의 체험 플로우(flow)가 하나의 컨셉으로 관객에게 잘 전달되도록 세부디자인을 진행하였다. (결과) 총 3개의 분리된 주제별 공간 속 오브제 장치를 통해 공간을 경험함으로써 의식에서 무의식 세계로 흘러가는 일련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각 공간을 관람하는 순서는 관객의 이성적 의식 상태를 점점 유연하게 하여 무의식의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연출하였다. 전시관은 스토리라인에 맞춰 3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는 동선 순서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결론) 본 디자인 안은 일방적인 전달형, 나열식 전시보다는 관객이 주체가 되어 열린 결론을 도출하고 감성적 자극으로 삶을 환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시를 지향했으며 이를 전시 주제, 컨셉, 공간디자인, 효과적인 체험을 위한 전시의 유형별· 매체별 연구 및 적용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국내 박람회의 흐름과 그에 따라 다양하게 진화하는 관객들의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체험형 전시를 기획하고 연구하는데 있어서 연구 또는 기획자가 자료를 얻고, 기본계획을 작성하거나 디자인하는데 본 연구의 디자인 접근방법이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apacity and needs of those enjoying the convergence of modern digital technologies have been evolving. The expansion in the field of experience-type exhibitions has led to a need for planning and performance strategies to cope with the diversity of target groups. A ground-breaking program can present a vision of the industry that could raise the level of the industry fair. With this in mind, we considered the use of a practical exhibition project through the 2018 Housing Brand Fair in order ask questions, debate, and come to conclusions regarding the common and most important keywords of the architectural, interior, and living industries. (Method) First of all, the method of the design progress was decid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analysi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types of exhibits, media components and methods of production, as well as to analyze similar cases. Second, the conditions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exhibition hall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total number of visitors to the exhibition fair center, COEX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and the Sign-Lead Expo. Third, as a stage of the design process, the entire exhibition concept was established, and the floor plan and the copper vessel plan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exhibition story lines, space production, and other details. In particular, detailed designs were developed to ensure that the experience flow of each corner associated with the story lines was conceptually well communicated to the audience. (Results) The order of visitors to each space was designed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the audience's rational state of mind and the unconscious world. First, through the principles of "Mandala" that lead visitors to a sense of self-monition and enlightenment, and the shadow passing through the CMYK lighting, the theater aims to provide a chance to reflect on the diverse ego of the audience. Second, the smoothness of a translucent fabric and the sense of well-being caused by a comfortable scent were intended to make the audience's senses more receptive. Finally, as the ultimate space symbolizing the unconscious abyss, the audience was guided through the mirrors of the wall to experience a multidimensional unconscious world with infinite effect. (Conclusions) This design plan aims to display a space for the audience to develop open conclusions and to promote life with emotional stimuli rather than unilateral transmission and display. Planning the flow of domestic exhibitions impac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nteractive exhibition to meet the needs of diverse and evolving audiences, we hope that the design approach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to obtain a ruler and to create or design a basic plan for further study.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미술관 전시공간에 사용되는 공간유형
백용운(Baek Young-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단면 구성을 통한 공간 내부 경계의 모호성에 관한 연구
임종엽 ; 이홍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4 n.6(통권 53호) (200512)
도서관 건축의 전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배동식(Dongsig B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3 (20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