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 기반의 콘크리트 구조물 박락 탐지 / Image-based Spalling Detection of Concrete Structures Using Deep Learning
저자명 이예인(Ye-In Lee) ; 김병현(Byunghyun Kim) ; 조수진(Soojin Cho)
발행사 한국콘크리트학회
수록사항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30 No.1 (2018-02)
페이지 시작페이지(91) 총페이지(10)
ISSN 1229-5515
주제분류 재료 / 구조
주제어 콘크리트 ; 박락 ; 딥러닝 ; 전이학습 ; 이미지 증강//concrete ; spalling ; deep learning ; transfer learning ; image augmentation
요약1 현재 콘크리트 구조물은 균열, 박리, 박락, 철근노출, 골재분리 등의 외관손상을 찾기 위한 육안 검사를 기반으로 정기적 유지관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작업 인력의 위험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기반의 콘크리트 박락 탐지 기술을 개발하였다. 먼저 학습 이미지 데이터는 웹스크레이핑 기법을 이용하여 수집되며, 수집된 이미지들은 박락, 이음부 및 모서리, 무손상 표면, 기타로 분류된다. 여기에 이미지 증강 기법을 적용하여 학습이미지 수를 증가시킨다. 기존에 이미지 분류를 목적으로 개발된 합성곱신경망인 AlexNet을 일부 조정하여 사용하는 전이학습기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박락을 탐지하는 이미지 분류기를 개발하였다. 윈도우 크기만큼 움직이는 두 개의 겹치는 윈도우를 슬라이딩하면서 각각의 윈도우에 개발된 분류기를 적용하였다. 그리고는 분류기의 최종 softmax 층에서 출력되는 스코어의 평균을 이용하여 확률지도를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박락에 대한 신뢰도 값이 25 % 이상이 되는 픽셀을 박락으로 판정하였다. 개발된 방법은 14개의 철근노출 및 철근무노출 박락 이미지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14개의 이미지에 대해 박락은 모두 잘 찾을 수 있었으며, 박락의 탐지능력을 보여주는 재현율은 픽셀 레벨에서 80 % 이상으로 나타났다. 본 개발 방법은 박락뿐만 아니라 다양한 손상 유형에도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약2 Currently, concrete structures are maintained based on routine visual inspection to find apparent damage such as crack, delamination, spalling, rebar exposure, and segregation. However, visual inspection requires a lot of labor and time, while the risk to inspectors is high. Thus in this study, an image-based concrete spalling detection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using deep learning. First, a training image dataset is built by scraping images from internet, and they are categorized into Spalling, Concrete Joint and Edge, Intact Concrete Surface, and Etc. The number of training images increases by implementing image augmentation techniques. An image classifier to detect concrete spalling is developed by a transfer learning approach that fine-tunes the exist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exNet using the augmented training image dataset. With two overlapped windows sliding with stride of a window size, the developed classifier is implemented in each window. A probability map of spalling is then constructed using the average of two score values of the last softmax layer in the classifier. Lastly, pixels with a score larger than 25 % out of 100 % are marked as spalling. The developed approach is validated for 14 spalling images with and without rebar exposure. The existence of spalling is not missed in any cases, and the recall in the pixel level, which shows the detectability of spalling, is found to be over 80% for all test images. The developed approach can be expanded for different types of concrete damage.
소장처 한국콘크리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딥러닝 및 영상처리 기술을 활용한 콘크리트 균열 검출 방법
정서영(Jung, Seo-Young) ; 이슬기(Lee, Seul-Ki) ; 박찬일(Park, Chan-Il) ; 조수영(Cho, Soo-Young) ; 유정호(Yu, Jung-H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5 No.11 (201911)
콘크리트 균열 탐지를 위한 딥 러닝 기반 CNN 모델 비교
설동현(Seol, Dong-Hyeon) ; 오지훈(Oh, Ji-Hoon) ; 김홍진(Kim, Hong-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6 No.03 (2020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드론과 이미지 분석기법을 활용한 구조물 외관점검 기술 연구
김종우(Kim, Jong-Woo) ; 정영우(Jung, Young-Woo) ; 임홍철(Rhim, Hong-Chul) -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 Vol.17 No.6 (201712)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건설현장사진의 공종별 분류에 대한 기초연구
길대영(Gil, Dae-Young) ; 전가현(Jeon, Ka-Hyun) ; 이강(Lee, Ghang)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7 No.2 (201710)
최근 건축분야의 인공지능 기계학습 연구동향
강인성(Kang, In Sung) ; 문진우(Moon, Jin Woo) ; 박진철(Park, Jin Chu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3 No.04 (201704)
[특집] 개정된 KBC2016 풍하중기준
하영철(Ha, Young-Cheol)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0 No.09 (201609)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이미지 기반 기계 학습과 BIM을 활용한 자동화된 시공 진도 관리 - 합성곱 신경망 모델(CNN)과 실내측위기술, 4D BIM을 기반으로 -
노주희(Rho, Juhee) ; 박문서(Park, Moonseo) ; 이현수(Lee, Hyun-Soo)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Vol.21 No.5 (202009)
변동풍력의 연직분포를 고려한 건축물의 풍하중 평가
류혜진(Ryu, Hye-Jin) ; 신동현(Shin, Dong-Hyeon) ; 하영철(Ha, Young-Cheo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5 No.07 (20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