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광화문 광장의 중층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Multiplicity of the Gwanghwamun Square
저자명 신유림(Shin, Yoo-Rim) ; 백승한(Paek, Seung-Han) ; 이강주(Lee, Gahng-Ju)
발행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Vol.20 n.01 (통권83호) (2018-02)
페이지 시작페이지(17) 총페이지(10)
ISSN 1229-5752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광화문 광장 ; 광장 ; 도시 공간 ; 전환적 환경//Gwanghwamun Square ; Square ; Urban Space ; Transformative Environment
요약1 본 연구는 21세기 한국의 도시상황에서의 광장의 의미를 '광화문 광장'이라는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탐구하고자 한다. 광화문 광장은 6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자연환경과 건조 환경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층위를 이룬 채 공존하며 지속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광화문 광장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물리적 특징 (2) 전환적 환경 (3) 박람회적 공간. (1)의 특징에서 광화문광장은 서울시청-청계천-경복궁-북악산을 연결하는 국가 상징 축의 경관을 계승하였다. 이는 원래 육조 거리의 앞길로 가로의 역할을 하던 공간을 변형시킨 것이다. (2)의 특징에서 광화문 광장은 그 이용에 있어 고정된 '광장'이라는 장소적 이용보다는 전체 광화문의 일부 영역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점유된다. 실제 이용에 있어서는 고정된 장소적 구획을 벗어나 행위에 의해 영역이 재정의 되며, 청계 광장과 서울 광장까지 자연스럽게 네트워크화된 광장 기능들을 유기적으로 발휘하고 있다. (3)의 특징에서 광화문 광장은 과거의 박람회와 마찬가지로 신기술과 신상품을 불특정 다수에게 전시했다. 광장은 다양한 목적을 가진 외국인들이 새로운 '한국적' 경관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시민들의 역할은 광장의 성격을 규정짓는데 더 큰 위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광화문 광장은 기존의 광장과 유사하나, 그 형성 과정이나 이용 행태, 나아가 정체성이 정의되는 방식에서는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광화문 광장을 중층적 도시 환경의 전형(prototype)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광화문 광장은 환경이 끊임없는 전환 속에서 작동하면서 우리 시대 혹은 다가올 시대를 표상하는 중층화된 행위 그 자체라는 인식의 보편성을 실체화하고 있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square in the context of 21st-century urban Korea. A specific case study that follows is the Gwanghwamun Square, a 600-years-long civic space in which aspects of natural and built environments coexist in a palimpsest manner.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of a single square, which is inarguably the most representative public space in the country, we bring forth three key characteristics of the Square with the following coinages: (1) Physical Feature; (2) Transformative Environment; and (3) Expositional Space. First, the Gwanghwamun Square has established the country's symbolic axis that cuts across the key locations of the milieu, including Seoul City Hall, Cheonggye Stream, Gyeongbok Palace and the Mount Bukak, as well as having functioned as the main street of the Joseon Dynasty called 'Yookcho Geori' since the 15th century. Second, the entire realm of the Square is activated by various practices and events, in a way that it functions as the 'networked' square which connects to other milieus and to various agents of power both physically and affectively. Third, through the compearance of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that unspecified groups of individuals comes across in daily life, the Gwanghwamun Square provides opportunities for both citizens and visitors to experience new kinds of landscape that are not limited to 'Korean' sceneries in a traditional sense, although our study reveals that the role of Koreans is still more influential than others in defining the identity of the Square. One might argue that the Gwanghwamun Square is an elusive square type compared to other representative 'Western' exemplars, but the way that it is formed and experienced in the South Korean urban contexts does make it a distinctive case. Hence, we claim that the Gwanghwamun Square is a new urban typology which reflects the multiplicity of city space in the neoliberal Korea.
소장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광화문광장 조성과정 및 설계 연구
신현돈 ; 조경진 -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41 n.4 (2013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장소정체성 개념으로 바라본 광화문광장의 가치에 대한 연구
김지현; 정재용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9호 (202002)
광장에 대한 공론의 생성과 공간적 반영
안진희(Ahn, Jin-Hee) ; 배정한(Pae, Jeong-Han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6(통권 제78호) (201612)
한국 도시광장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성기문 ; 류주희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5 n.03 (통권54호) (201306)
[논문] 1960년대 광화문 중건과 광화문 앞길의 변화
강난형(Kang, Nan-hyoung) ; 송인호(Song, In-Ho)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4 No.4(통권 101호) (201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