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재생사업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대안 연구 / 뉴욕시 로우라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blicn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The Case of Lowline in New York City
저자명 이보람(Lee, Bo Ram) ; 허자연(Heo, Ja Yun)
발행사 한국도시행정학회
수록사항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Vol.31 No.1 (2018-03)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19)
ISSN 1598-8686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뉴딜 ; 지하공간 ; 주민참여 ; 젠트리피케이션 ; 로우라인//Urban Regeneration New Deal ; Underground Space ; Community Participation ; Gentrification ; Lowline
요약1 도시재생뉴딜사업은 정부와 국민의 협력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추진될 계획이며, 도심에 진행되는 사업의 특성상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책임이 요구된다. 도시재생사업의 수익성 확보를 위해서는 도심 내 유휴공간 및 공유지의 활용은 불가피하며, 따라서 도시재생사업은 공공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한 사회적 책임의 관점에서 뉴욕시 로우라인 사례를 고찰하였다. 현장 방문, 관계자 인터뷰, 지역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사업 추진과정과 구조, 다양한 주민참여방식,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로우라인 사례는 재원 마련과 수익성 확보에 있어 민간부문의 자발적인 투자를 장려하고, 다양한 재원조달 방식을 채택했으며 공유지를 저렴한 가격에 임대하여 사업성을 높였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관계를 조율하기 위해 지역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들의 제안 수렴, 주변 지역 공동체와 환류과정을 통해 계획안 작성, 다양한 유형의 주민참여를 통해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적 접근을 통한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통해 공공사업이 사유화되는 것을 예방하고자 했다. 로우라인의 사례를 통해 도시재생사업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새로운 대안을 모색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요약2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different stakeholders in executing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successfully with the partnership of public and private governance.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profit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bandoned public spaces are certainly profitable ?it is necessary that these projects should pursue "publicnes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case of Lowline in New York City, which seeks to enhance publicness, with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analyze the detailed process and the structure of the project, community participation methods, and effort to prevent gentrification, not only on-site visit and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but also local newspaper articles are reviewed. Lowline has promoted private sector voluntary investment to secure the profitability, broadened financing options, and improved feasibility by leasing public land at low cost. Moreover, Lowline has discussed with groups of experts of the area, created plans and programs with surrounding neighborhoods, and promoted community engagement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takeholders. Finally, efforts to prevent gentrification as well as privatization by building partnership with local organizations are examined. The case study of Lowline demonstrates a new approach in achieving "publicn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소장처 한국도시행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서수정(Seo, Soo Jeong)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정책) : 2015 No.02 (201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