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반영한 주거디자인 특성 연구 / HOUSE VISION Tokyo Exhibition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ousing Design Characteristics Reflecting Lifestyle Changes - Focused on "HOUSE VISION Tokyo Exhibition"-
저자명 신혜진(Hyejin Shin) ; 이재규(Jaekyu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4 (2018-08)
페이지 시작페이지(119) 총페이지(13)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동경 하우스비전 ; 라이프스타일 ; 주거 공간 ; 주거 유형 ; 지향적 특성//HOUSE VISION Tokyo Exhibition ; Lifestyle ; Housing Space ; Housing Type ; Orientation Characteristics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인공지능, 정보통신과 같은 기술의 발달과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1인 가구의 등장 등 사회적, 경제적 변화 요인에 따라 현대인들의 생활 양식이 점점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생활 양식, 즉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주거공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며 전통적인 과거의 생활 양식과는 다른 변화된 라이프스타일을 담을 수 있는 주거공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국내 대형 건설사들도 미래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모델에 대한 아이디어 경쟁이 치열하지만 대부분이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홈 열풍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경 하우스비전 전시 주거모델에 나타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반영한 주거디자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라이프스타일을 넘어 사용자의 삶을 고려한 주거계획의 방향성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주거계획에 있어 라이프스타일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2000년대 이후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계획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주거유형별 특성(첨단기술지향성, 감성지향성, 지역문화지향성, 친환경지향성, 사용자지향성, 관계지향성)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기준으로 동경 하우스비전 전시의 주거모델에 나타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디자인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결과) 분석 결과 동경 하우스비전 전시 주거모델들은 첨단 주택만을 지향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이와 반대되는 아날로그적 감성과 자연친화적 요소, 지역문화지향성을 반영한 주거모델이 좀 더 많이 전시되었다. 특히 일본의 다도문화, 쾌적한 화장실 문화 등 일본의 주거문화를 반영한 지역문화지향성과 지역의 토속적 재료의 활용, 지역환경과의 조화 등 친환경지향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주거유형별 특성 중 관계지향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주거공간에 반영한다는 의미는 주거를 통해 개인의 가치를 실현하고 개성을 표현하며 철저하게 사용자의 삶에 맞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각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치기준에 의한 삶의 질적 향상 측면에서 주거계획을 생각해야 하며, 단순한 통계적 니즈에 의한 주거계획이 아닌 그 속에 살게 될 개개인의 삶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수반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를 둘러싼 사회, 문화, 지역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영위할 수 있는 주거계획을 실행할 때, 사용자의 삶에 초점을 맞춘 주거공간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방향성을 가진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계획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social and economic variation factors including technological advanc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advent of single households resulting from a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the lifestyles of contemporary men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ified. The changes in lifestyles exert immense influence on housing spaces and the necessity for housing spaces, which can contain lifestyles different from traditional lifestyles, is being suggested. In this light, large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are competing to generate creative ideas with regard to housing models reflecting future lifestyles, but most ideas are resulting in smart home fever, applying the latest technology. In consideration of this f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scovering the direction of housing plans considering the lives of residents by examining housing design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lifestyle changes in HOUSE VISION Tokyo Exhibition models. (Method) First of all, the importance of lifestyle in housing plan will be identifi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housing and housing-type characteristics (high technological orientation, emotional orientation, local cultural orientation, eco-friendly orientation, customized orientation, and communicative orientation) will be examin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housing plans reflecting changing lifestyles after the 2000s. Housing design characteristics reflecting lifestyles from HOUSE VISION Tokyo Exhibition housing model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it.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OUSE VISION Tokyo Exhibition housing models were not just oriented toward high tech housing, and there was a relatively higher number of housing models reflecting analog sentiments, eco-friendly elements, and local cultural orientation. In particular, there were high levels of local culture orientation reflecting Japanese housing culture including tea ceremony culture, clean restroom culture, and so on, and eco-friendly orientation such as use of local materials, harmony with local environment, and so on were found and communicative orientation, out of housing type characteristics, stood out the most. (Conclusion) Reflecting user lifestyle into housing space means realizing individual values, expressing individuality, and thoroughly customizing for residents. Housing pla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spect of living quality improvement from value standard based on individual lifestyles and earnest consideration of individual lives, not housing plans based on mere statistical needs, should be accompanied. That is, when housing plans in which lifestyles can be managed based on understanding of society, culture, and the local environment, housing spaces focused on the life of residents can be materialized. Therefore, continuous study on housing plans reflecting lifestyle with diverse directions is necessary.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주거용 오피스텔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권영지(Kwon, Yeong-Ji) ; 김동훈(Kim, Dong-Hoo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7 No.2 (201710)
1인가구를 위한 소형집합주거 공간계획에 나타난 주요특성 및 선호
김미경 ; 장은혜 ; 송애희 ; 유진 ; 최지은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 v.2(추계) (201011)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