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하이데거의 거주의미를 담은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 Expressing'Dwelling'of Heidegger
저자명 오상은(Sangeun Oh)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4 (2018-08)
페이지 시작페이지(133)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하이데거 ; 거주의미 ; 공간적 특성 ; 루이스 칸 ; 방//Heidegger ; Meaning of Dwelling ; Spatial Characteristic ; Louis I. Kahn ; Room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건축이란 무엇인가'의 질문에 대한 답은 시대정신과 건축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아래 대답되어질 수 있으나, '건축이 갖는 본래적 의미가 무엇인가'의 질문에서는 '인간이 거주하는 공간'이라는 것에 이견이 있을 수는 없겠다. 그러나 여기서 생각해 볼 것은 그렇다면 '인간의 거주는 무엇이며, 또한 거주를 어떻게 건축적으로 구체화하는 가.'에 관한 질문일 것이다. 거주(dwelling)의 의미는 단지 일정한 지역에 머물러 산다는 의미를 넘어선 '인간 존재의 삶과 세계와의 관계'라는 실존적 의미가 담겨있다."거주가 없다."고 말하는 시대적 상황아래 진정한 거주의미를 담은 공간적 특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는 그 필요성을 더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하이데거의 거주의미를 통해 거주에서 나타는 공간적 특성을 살핌으로서 일상의 삶에서 인간의 거주를 더욱 발현시키는 건축적 공간이 무엇인지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하이데거는 인간의 삶을 현상적으로 해석하여 거주의 본래적 의미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거주의미를 공간적으로 해석해보도록 한다. 또한"건축 그 자체가 아니라 자신의 확장"이라는 실존적 의미를 건축공간에 담아 일생을 설계해온 루이스 칸의 건축 작품을 통해 거주를 고양하는 건축공간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결과) 건축공간에 실존적 의미를 담아 설계해간 루이스 칸의 건축 작품을 분석해보니 거주의미를 통해 추출된 공간적 특성과 맞닿아있었다. 에워싸고 열린 부분의 '방'은 다른'방', 또는 전체로서의 건축과 상대화되고, 경계공간은 타자와 외부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체화되었으며, 마지막으로 건축공간의 통일된 요소로서 계획된 사물은 인간이 건축공간과 교감되도록 표현되었다. (결론) 거주하는 인간은 세계와의 관계아래 자신을 인식하고, 타인과 주변세계를 의미 있는 관계로 형성해 가며, 궁극적으로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살아간다. '거주하기와 짓기'가 동일하다는 하이데거의 말은 실존이 공간적이라는 의미로서, 이는 거주가 공간적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말한다. 거주하는 인간은 자신을 에워싸면서도 열린 공간, 즉 외부세계에 열리면서도 인간의 삶을 안정적으로 에워싸는 공간에서 살아가고자한다. 타자를 수용하며 주변세계를 유입시키는 공간이 필요하며, 그리고 인간이 참여되고 교감되는 장소와 동일화된다. 루이스 칸이 제시한'방'은 인간과의 교감 속에서 실재한다. '삶에서의 인간의 바람'이 물리적, 현상적으로 구체화된 루이스 칸의 건축공간인'방'을 인간의 거주를 고양하는 장소로서 살펴볼 수 있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question of "What is architecture?" can be answered from various viewpoints, seeing the spirit of the times and architecture.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the question of 'What is the authenticity of architecture?" can be distinctly answered as "the space of human dwelling." Now and then, we ought to think about and focus on the question "What is a human dwelling, and how we can architecturally build?" Dwelling has a meaning of not only of living in a fixed area, but also has an existential meaning in the relation between human existence and the world, in the circumstance insisting that there is no dwelling in modern times. The study of what spatial characteristics express the authentic meaning of dwelling shows the necessity of this subject.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what the architectural space encouraging human dwelling in our everyday life means by study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dwelling meaning from Heidegger's viewpoint. (Method) Heidegger explained the authenticity of dwelling through the phenomenal interpretation of human life. I try to extract the spatial characteristic from the structure of human existence, interpreted from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Furthermore, I demonstrate examples of architectural space expressing dwelling through the architectural works of Louis I. Kahn, who worked for putting existential meaning in architectural space. (Results)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Louis I. Kahn say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is architectural space meet the spatial characteristic which is extracted from the meaning of "dwelling." The "room" which is enclosed and open is relative with the other "rooms" or architecture itself. The space of the threshold is materialized to accommodate others or the outside world positively. And the 'thing' is an element which is very carefully planned for human beings to commune with site, human's behavior, and architectural space. (Conclusions) Humans recognizes themselves under their relation with the world, building with others and his surrounding life a meaningful relation, and eventually lives expressing his life. Heidegger's saying, "Dwelling same as Building." means that the existential is spatial. It says that a dwelling should be interpreted to spatially. The "room" of Louis I. Kahn exists in communion with human's desire and wish. The 'room's relativity, reciprocality, and expressivity shows human being's wish to interpret architectural space into common sense. That's why the "room" that is materialized physically and phenomenally is called "a place of human's mind" by Louis I. Kahn. It is also a place encouraging human dwelling.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논문] 노베르그-슐츠(C. Norberg-Schulz)의 `장소성`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승헌 ; 이동언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2 n.3 (200309)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