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국내 복합쇼핑몰의 가로특성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Street Characteristics of the Mixed-Use Shopping Mall in Korea
저자명 박두리(Doory Park)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5 (2018-10)
페이지 시작페이지(41) 총페이지(13)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복합쇼핑몰 ; 매장구성 ; 공간소비 ; 내부가로 ; 공간//Complex shopping mall ; Store composition ; Space consumption ; Inner street ; Space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상업공간은 점차 쇼핑과 외식 등 단순한 소비행위를 넘어 다양한 문화적 행위를 담아냄으로써 이용자의 문화 및 여가를 충족시키기 위한 복합쇼핑몰로 발전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소비는 단순한 물건구매가 아니라 보다 넓은 개념으로 구매과정에서 일어나는 경험적 측면을 포함한 개념이며 그 과정에서 공간소비가 함께 발생한다. 최근에 준공된 복합쇼핑몰은 직접적인 판매보다 소비자들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 자연스럽게 소비를 유도하며 쇼핑몰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한 방식으로 공간소비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복합쇼핑몰이 도시의 연장선상이자 여가문화공간으로써 도시의 특성을 내부화함에 따라 공용공간의 확대, 내부 가로화, 외부와 내부의 중첩, 외부성의 발현과 같은 건축적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내부가로뿐만 아니라 가로와 인접된 매장에도 영향을 주어 매장의 구성과 배치, 건축적 특징들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도시의 가로가 인접한 매장들과의 상호 작용를 통해 그 이미지가 생성되듯이 복합쇼핑몰의 내부가로 또한 도심 가로화 되면서 인접한 매장들의 공간적 시도와 설정도 변화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찰은 변화하고 있는 복합쇼핑몰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복합쇼핑몰의 내부가로의 공간분석을 통해 현재 내부가로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복합쇼핑몰 내 매장의 공간 전략과 디자인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차별화된 복합쇼핑몰의 매장구성계획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복합쇼핑몰의 내부가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 특징, 유형을 파악하고 선행연구로부터 수평성, 야외성, 복합성, 개방성, 비일상성이라는 내부가로의 5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5가지 핵심특성을 가지고 국내의 대표적인 복합쇼핑몰 6곳을 선정하여 사례별로 분석한 후 매장의 공간 계획 특성과 디자인 특성 및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그 결과 복합쇼핑몰의 매장은 다중심화, 업종의 혼합, 개방성강화, 외부성의 발현, 복합형 체험매장의 증가라는 특성이 나타난다. 매장이 다중심적으로 혼합배치되어 공간의 위계가 옅어지고 개방성이 강화되어 내부가로와 매장공간의 연계성이 높아진다. 실내와 실외의 중첩과 건축 요소등으로 외부성이 발현되며 복합형 체험 매장이 증가하여 비일상성이 높아진다. (결론) 매장의 가로특성 발현으로 유추한 복합쇼핑몰의 변화는 3가지이다. 첫째 경계의 약화, 둘째 비일상성의 강화, 셋째, 공간소비의 강화이다. 이런 3가지의 특성들은 최근의 복합쇼핑몰이 타 쇼핑몰과 차별화 요소로써 제품의 대규모 집적과 직접적인 소비가 아닌 다양한 집적을 기반으로 이용자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감성을 자극하기 위해 이용자, 공간, 프로그램이 상호작용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복합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dern commercial space is gradually evolving into the complex shopping mall to satisfy the cultural and leisure needs of users, capturi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rather than common consumption activities such as shopping and dining. In today's society, consumption is not simply the purchase of goods but a concept that includes the empirical aspects of buying in a broader way, encompassing space consumption. Newly completed complex shopping malls have begun paying attention to space consumption in a way that will increase consumers' stay time, drive consumption naturally,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shopping mall; the focus on direct sales has shifted. This change represents the extension of a city; as the complex shopping mall internalizes the character of the city as a leisure and cultural space, malls are characterized by the expansion of public space, superposition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and expression of the outdoors. The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layout,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stores, affecting not only their interior street but also their adjacent stores. Focusing on these six core characteristics, six representative shopping malls in Korea were selected to analyze comprehensivel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planning, design, and effects of the stores. Just as the city's streets interact with neighboring cities, the inner city of a shopping mall also becomes a city street, changing the spatial attempts and settings of adjacent stores. The discussion identifies the changing nature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inner street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through analyzing the interior street. The research aimed to evaluate the spatial strategy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stores in the complex shopping mall to assess the future differentiation of shopping mall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s, features, and types of interior street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from which six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treets were derived: horizontal, outdoor, complex, openness, and non-commodity. (Results) The stores of complex shopping malls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inversions, mixed deployments by industry, increased openness, improvement of externality, and increased experience stores. The multi-hearted arrangement of the stores makes the space smaller and more open, increasing the link between the street and floor space. The externality of indoor and outdoor features and building elements is promoted, and non-operative will increase as theme park type stores increase. (Conclusions) The complex shopping mall has undergone three changes as estimated by street characteristics: first, the weakening of boundaries; second, the strengthening of non-uniformity; and third, the strengthening of space consumption. These show that the recent complex shopping mall has the following differentiating element from other shopping malls: space interacts and mixes in various ways to meet the cultural needs of users and stimulate their emotions based on various purposes, instead of on large product aggregation and consumption.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복합쇼핑몰의 구성요소가 몰링(Malling)체감에 미치는 영향분석
유민태(You, Min-Tae) ; 박태원(Park, Tae-Won) - 국토계획 : Vol.50 No.8(통권 218호) (2015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내 대형 복합쇼핑몰의 공간구조 비교분석
황재홍 ; 안병주 ; 김회율 ; 김재준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10)
북미 쇼핑몰의 변화에 따른 평면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김형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9 n.2(통권 79호) (201004)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복합쇼핑몰 내 어린이 공간 도입현황과 체험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오정아(Jungah Oh)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6 (20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