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한국 주요 성당(聖堂)건축 내부 공간 평면구성 비교 연구 / 제2차 바티칸공의회 전·후로 건립된 한국 주요 성당건축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loor Plan of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s with The Use of Space Syntax Analysis - Concentrated on the Comparison of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s constructed before and after Vatican Ⅱ -
저자명 권태일(Taeill Kweon)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5 (2018-10)
페이지 시작페이지(55)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한국성당건축 ; 장방형평면 ; 탈-장방형(자유)평면 ; 공간구문론 ; 가시성//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 Latin Cross Floor Plan ; Free Type Floor Plan ; Space Syntax ; Visibilit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전통적으로 한국 성당건축의 내부공간은 성소(聖所)를 향한 '구원의 통로'라는 의미의 일방향 시선을 갖는 장방형 평면(Latin Cross)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런 경향은 평신도들의 '적극적인 참여(participatio actuosa)'를 강조하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미사예식 중 사제와 신자 상호간의 교감과 몰입도 증대에 초점을 두는 부채꼴, 마름모형, 원형 등의 탈-장방형 평면으로 변모하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전통적인 장방형에 비해 현대의 탈-장방형 평면이 공간적으로 반드시 신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더 유도한다고 볼 근거가 불분명하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문제에 대해 공간의 정량적 분석방법인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공의회 전·후로 건립된 우리나라 주요 성당건축의 장방형과 탈-장방형 평면을 비교분석하여 미사전례를 위한 공간적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주요 방법은 전술한 '공간구문론'으로서 공간의 가시성과 접근성에 기초한 분석방법이다. 이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미사 전례에서 신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몰입의 정도가, 사제의 미사 집전공간인 중앙 제대 공간과 신자공간인 회중석 공간이 입당, 말씀전례, 영성체로 이어지는 예식 과정에서 '서로 잘 보이고(가시성), 신자들의 이동과 접근이 용이할 때(접근성)'극대화 된다는 점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후로 건립된 성당의 내부공간구조를 비교 평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결과) 연구의 대상이 되는 성당건축의 수는 광범위하나, 전체가 4가지 평면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그 각 유형은 유사한 공간적 속성을 가지므로, 유형별로 3곳을 도출하여서 총 12개의 성당건축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와 둘째 유형은 우리나라에서 천주교가 본격적으로 전래(傳來)되기 시작한 19세기 후반부터 공의회 개최 전인 1960년대 초까지의 장방형 평면을 갖는 주요 성당건축으로서, 회중석(Nave) 좌우측의 통로(Aisle)유무(有無)에 따라 유형별 3곳, 전체 6곳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둘째와 셋째유형은 공의회 이후인 1960년대 후반부터 건립된 탈-장방형평면 성당건축으로서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 다양한 평면유형이 존재하나, 부채꼴 평면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므로 부채꼴과 기타유형(원형, 반원형, 삼각형 등)으로 분류하여 각 3곳씩 전부 6곳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장방형 평면의 성당건축공간이 탈-장방형 평면에 비해 미사전례 시 몰입도 증대에 반드시 불리 한 것이 아니며, 특정 지표에서는 오히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공의회 취지에 따른 기존의 탈-장방형 현대 성당건축 내부공간계획의 잘못된 선입견을 수정하고, 궁극적으로는 전통적인 장방형평면 성당건축이 갖는 장점에 기초한 새로운 한국성당건축계획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Before the Second Vatican Council (Vatican II), most Korean Catholic churches had been constructed following the traditional long, rectangular floor plan (symbolizing the Latin Cross), which denoted "the passage of salvation." However, many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es have abandoned the "Latin Cross architecture" in favor of the free-type floor plan, such as the fan, circle, and triangle types, in keeping with the purpose of Vatican II: participatio actuosa (lit. active participation). However, there is no sufficient evident that the free-type floor plan is better than the traditional rectangular plan as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in promoting participatio actuosa during mas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floor plan of Korean Catholic churches constructed before and after Vatican II using space syntax analysis,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space. (Method) Space syntax analysis is based on visibility and accessibility in architectural space. With respect to participatio actuosa at mass, from the Entrance Rite to Liturgy of the Word and to Communion Rite, the entire ceremony largely depends on the visibi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Sanctuary, the space for the priest, and The Nave, the space for parishioners. As such, space syntax is an ideal method for comparing the inner space composition of Korean Catholic churches constructed before and after Vatican II. (Results) Although Korea has many Catholic churches spread across the country, only 12 churches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because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floor plan form; we selected three churches to represent each form. The first and second types, seen in six churches constructed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1960s, used two kinds of rectangular floor plan: one with an aisle, and the other without. The third and fourth types, composed of six churches constructed after the late 1960s, are the fan-type free floor plan and non-fan type, such as the circular, semi-circular, and triangular floor plan. The space syntax analysis showed that the free-type floor plan is not always better than the simple Latin cross type of floor plan for participatio actuosa. Rather, the latter is superior in some evaluation factors of visibility and accessibility. (Conclusions) Space syntax analysis indicated not only the errors of the existing architectural design trend of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es but also new possibilities for the simple Latin cross floor plan to serve as a new architectural design direction of modern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현대 성당 공간 구성 요소의 현상학적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정진원(Chung, Jin-Won) ; 소병일(SoByung-I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11 (201111)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델파이 조사로 본 현대 천주교 성당의 전이공간 특성 연구
권태일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5 n.05 (통권57호) (201310)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공간구문론(Space Syntax) 분석으로 본 현대 성당(聖堂)건축 전이공간(轉移空間)의 특성 연구
권태일(Taeill Kw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4 No.07 (20191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1990년 이후 한국 성당 공간의 특징에 관한 연구
최중인(Choi, Jong-In) ; 정진원(ChungJin-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8 (201408)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