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국내 권역 재활병원의 부문별 면적 분석연구 / Comparative analysis and study of the space and area of rehabilitation hospitals in Korea
저자명 이택기(Taekki Lee) ; 조철호(Cheolho Cho )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5 (2018-10)
페이지 시작페이지(165) 총페이지(11)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권역 ; 재활병원 ; 재활 ; 의료재활시설 ; 부문별//Regional ; Rehabilitation hospital ; Rehabilitation ; Medical rehabilitation facility ; By sector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정부에서는 권역별 재활병원을 지정하여 지역주민들의 재활 편의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해 오고 있다. 보건복지부에서 정한 기준으로 현재 설립 운영 중인 권역 재활병원은 총 6개 곳이며 지난 2015년에 선정된 1곳은 현재 건립 중이다. 권역별 재활병원의 시설기준과 현재의 시설현황과는 어떤 이유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운영 중인 6곳의 권역 재활병원의 부문별 면적을 고찰하고, 국내의 시설기준에 공간의 과소 이유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재활병원의 건축계획에 필요한 자료로 쓰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장에 재활의학에 관한 개념을 이론적 고찰을 하고, 3장에서는 권역별 재활병원의 부문별 시설기준 등에 대해 정리하였다. 실의 면적은 도면 치수를 기준으로 실로 구성된 면적을 대상으로 산정하였다. (결과) 보건복지부 시설기준에서 병동 부문의 규모는 총 150 병상을 기준으로 제시하였으나, 각 지역의 장애인 및 재활 수요와 병원의 운영 특성에 따라 조금씩 규모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동 부문의 면적은 제주권역 재활병원이 가장 넓게 나타나는데,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한 5인실을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고 병상이 다른 권역별 재활병원에 비해 적은 것이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외래진료부문의 필수 기능 척수손상 재활치료실과 뇌병변 재활치료실, 근골격계 병변·통증 재활실은 강원, 경인, 영남권역 재활병원에서만 확보되어 있었다.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하는 중앙 진료부문의 필수 기능에는 여러 실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역의 특성을 감안한다 하여도 공간과 규모의 기준은 준수하여야 어느 지역에서도 균일한 전문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서비스와 일반 관리의 기타 부문은 6개 권역 재활병원에서 서로 규모는 상이 하지만 필요 공간들로 구성되어 있다. (결론) 권역별 재활병원의 실별 면적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를 통해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한 기준과 각 부문별로 병원마다 서로 조금씩 다른 것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권역별 인구 및 지역특성을 감안하여 규모의 상이는 인정할 수 있으나, 전체적인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서로 부족한 부문이나 면적에 있어서는 기준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그 기능들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designated rehabilitation hospitals for each area and has been actively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local residents. At present, there are six rehabilitation hospitals in operation,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e of the rehabilitation hospitals designated in 2015 is under construction. As such,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difference the facility standards between planned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current fac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pective areas of the six rehabilitation hospitals in Korea to analyze problems related to space and the local facilities. (Method)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s considered in Chapter 2, whereas the facility standards for the rehabilitation hospital in each region are summarized in Chapter 3. The area of the yarn was calculated based on the area consisting of yarns based on the drawing dimensions. (Results) Based 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facilities standards, ward size is represented by a total of 150 beds, but this study confirmed slight differences in scale depending on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in each region and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Rehabilitation hospitals with the largest ward area are in Jeju, according to the five-person room standard provi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anwhile,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as the mandatory functions of the outpatient department: spinal cord injury, brain lesion, musculoskeletal lesion, and pain rehabilitation rooms. These were secured only in Gangwon, Gyeongin, and Youngnam area rehabilitation hospitals. The central medical department should be composed of several rooms, a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ven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to consideration, hospitals should observe the standards of space and size so that uniform professional treatment can be obtained in any area.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lose. The other parts of the service and general management should be composed of six different areas with varied sizes but deemed limited in space in many rehabilitation hospitals. (Conclus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tual area of rehabilitation hospitals in different regions, we confirmed the criteria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ir differences with those implemented in each hospital. We observed differences in scale,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regional population and area. However, to perform their overall function, these hospitals need to be made to approach the standards in the case of lacking sectors or area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재활병원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정은영 ; 이특구 -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 v.10 n.2 (200409)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병원 설계 동향
조준영(Cho, Jun-you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6 (201706)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젝트 리뷰] 당선작-양평교통재활병원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 ㈜엠에이피한터인 종합건축사 사무소 ; 창우건축사사무소 ; RTKL -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 v.18 n.2(통권 47호) (201205)
[프로젝트 리뷰] 대구산재재활병원 신축 공사
(주)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18 n.3(통권 48호) (2012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국내 종합병원의 유형별 연면적 현황에 관한 연구
조준영(Cho, Jun-Young) ; 양내원(YangNae-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11 (201311)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