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자폐성 아동 특수학교의 시설기준과 프로그램에 관한연구 / A Study on the Facilities Standards and Programs of Special School for Autistic Children
저자명 최지연(Jiyoun Choi) ; 공순구(Soonku Kong) ; 박지훈(Jihun Park)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5 (2018-10)
페이지 시작페이지(277) 총페이지(11)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건축 디자인 ; 특수학교 ; 자폐성 장애 ; 공간 구성 ; 시설 기준 면적//Architectural design ; Special school ; Autism spectrum disorder ; Space program ; Area standard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자폐성 장애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실정은 자폐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시설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그동안,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을 위하여 교육과 연구는 지속적으로 있어 왔지만 특수학교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현저히 부족하다.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을 위한 학교에 대하여, 세계적으로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더불어 다양한 시점과 시각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과 함께 우리나라도 자폐 아동의 교육을 통하여 사회적 일원으로 독립할 수 있도록 적합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재활을 돕는 국공립학교가 마련 되도록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자폐 아동은 개인의 장애 범위가 더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자폐성 환자를 완전히 치유 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은 아직 없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장애 개선 방법은 행동장애 감소와 언어 습득, 의사소통기술을 증진, 자립기술 습득을 교육 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폐 아동의 치료와 교육을 위한 특수학교의 연구가 더욱 필요한 이유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들에게 다양하고 적절한 교육시설을 연구하여 제공하기 위한 연구로써 문헌을 통한 자폐 아동과 특수교육의 정의와 현황을 정리하고 해외의 자폐아동을 위한 특수교육 제도와 시설 기준, 자폐 특수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그 프로그램과 시설의 기준면적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자폐아동에게 적합한 특수학교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의 특성은 다양한 문헌조사를 통하여 연구되었으며, 국내외에서 실제로 운영 중인 학교시설의 사례를 바탕으로 교육부 또는 사례 학교 설계자의 이메일 질의회신 및 자료 공유, 가이드라인, 법규, 문헌 조사 등을 통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 이와 같은 분석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과 시설면적과 기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세계적으로 자폐 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에 걸 맞는 교육과 시설의 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해 가고 있다. 자폐아동의 초기교육과 치료과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을 시설과 프로그램으로서 해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해결 방안으로 볼 수 있다. 즉 치료에 관련된 교육과 시설환경이 자폐아동들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둘째, 자폐아동의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지원적 영역과 생활적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그램과 필요한 소요면적을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고 세밀한 면적의 기준까지 제시하였다. 셋째, 자폐아동의 교육이 일어나는 활동의 공간과 외부인의 접근이 많은 부분은 기능적 동선을 분리하고, 업무영역은 방문자의 접근이 편리하게 계획 하였다. 또한 외부 동선과 내부동선의 명확한 구분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놀이공간이 계획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자폐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에게 특수하고 세밀한 프로그램과 시설기준을 제시하여 보다 효율적인 치료를 아이들에게 제공 할 수 있는 학교의 이론적 기준이 되고자 하였으며, 향후 자폐아동을 위한 특수학교를 계획 할 시에 학문적 도움이 되고자 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the number of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s steadily increasing in Korea, special education school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ve not been established. Studies have shed light o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from various perspectives, but studies on special schools are insuffici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 policy of and with support from governments worldwide,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from various points of view, including the standards of education facilities. In Korea, there is recognition of the need to provide suitable public schools for children with autism to ensure their independence as future adult members of society through the education. Children with autism are characterized by a wide range of disabilities. At present, there is no known cure for autism. The most important measures of improvement are reduced behavioral problems, language acquisition,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and acquisition of self-sustaining skills. Given the above, studies on special schools for the treatment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are need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d provide suitable educational facility standard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 summarized the definition of children with autism and analyzed special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facility standard reports, and descriptions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have been presented in various literature, which were referenced in this study. Guidelines and school space programs have also been reported, as well as guidelines and codes from various countries, and were also reviewed in this research. In addition, we interviewed architects and corresponded with official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hese sources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s, facility areas, and standard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ults) First, as the number of children with autism worldwide is on the rise, the environment of educational and related facilities is changing, playing a critical factor in X. Given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and treatment, education and treatment facilities are also important. Second, facility space can be divided into net and support areas. Third, the circulation of net area tended to be divided for students and visitors, with the administration area being designed to allow accessibility for visitors. In addition, a safe and pleasant playground can be planned by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inside and outside circula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a specific space design and facility standard for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The results can be used to formulate standards in special schools for children with autism that can provide efficient treatment.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수학교의 진로·직업교육 공간계획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오형석(Oh, Hyoung-Seok) ; 최병관(Choi, Byung-Kwan)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17 n.05 (통권69호) (201510)
국내·외 실태분석을 통한 특수학교 건축계획 방향
강병근(Kang Byoung-Keun) ; 성기창(Seong Ki-Chang) ; 박광재(Park Kwang-Jae) ; 김은경(Kim Eun-K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1 (200711)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지적장애인을 위한 전환교육형 국 ? 공립 특수학교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김택현(Kim, Taek-Hyun) ; 공순구(Kong, Soon-Ku)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5 No.1 (201504)
[특집] 함께하는 학교, 특수학교가 나아가야할 방향
은동신(Eun, Dong Shin) - 교육시설(한국교육시설학회지) : Vol.24 No.3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특집] 소수를 배려하는 학교, 특수학교의 어제와 오늘
은동신 - 교육시설(한국교육시설학회지) : v.20 n.4 (201307)
[연구보고] 서귀포특수학교 교사신축 기본계획 연구
강병근 - 교육시설(한국교육시설학회지) : v.12 n.4 (2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