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마크 오제의 비장소에 관한 현대적 공간 특성 연구 / A study on Modern Spatial Characteristics by Marc Auge's Non-Places
저자명 박정아(Junga Park) ; 이재규(Jaekyu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6 (2018-12)
페이지 시작페이지(67) 총페이지(11)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마크 오제 ; 비-장소 ; 초 근대성 ; 공간적 이동성 ; 일시성//Marc Auge ; Non-places ; Super modernity ; Spatial mobility ; Temporalit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는 점점 더 많은 시간을 고속도로, 지하철, 공항, 호텔, 쇼핑몰과 대형마트에서 보낸다. 교통과 소비,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위한 이 공간들이 차지하는 물리적·추상적 면적 또한 넓어져 가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프랑스의 인류학자 마크 오제(Marc Auge)의 비장소(Non-Places)의 개념을 통해 현대의 삶을 지배하고 있는 비장소에 주목하고 공간의 형태가 변모하는 방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장소 개념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대의 공간들로부터 개념화한 용어인 마크오제의 비장소 개념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비장소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비장소 공간에서 나타나는 표현특성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그것이 만들어 내는 문화 현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비장소의 개념을 이해하고 장소와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마크 오제가 제시한 비장소의 특징을 정리한다. 둘째, 비장소가 가지는 공간의 대표적인 특징을 3가지로 분류하여 도출해내는 것으로 비장소라고 불리는 공간의 정의를 확립하고자 한다. 셋째 현대공간에 나타나는 사례분석을 통해 비장소의 특성을 뒷받침한다. 마지막으로 종합 결론을 통해 비장소가 가지는 현대 공간의 향후 증가 가능성과 비장소 공간론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비장소가 가지는 공간적 특징으로 공간의 이동성, 시공간을 확장시키는 공간의 일시적 정체성, 사인이미지와 텍스트가 공간에 상징적 현상들의 성격을 갖게 한다. 또한 비장소는 고독한 개인성, 일시성, 임시성, 찰나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비장소는 기존의 인류학적 장소와 대립되며 역사적인 것으로 정의될 수 없는 이동과 환승의 고독한 계약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결론) 현대 사회에서'장소'의 개념이'비장소'의 개념과 차별화 되며 비장소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공간의 확장과 시공간을 초월시키는 공간의 경험, 나아가 미디어에 의한 이미지와 텍스트의 환경들이 결국 현대도시의 일반적이고 공공적인 공간의 경험을 변화시키고 있다. 앞으로 비장소의 경험이 일반화되어 갈수록 이를 경험하는 공간의 구체적 형식과 정의가 필요하며 새로운 공간론의 확장을 제시하고자 하는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Contemporary people spend more and more time in places such as roads, subways, airports, hotels, shopping malls, and big stores. These places, which ar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consumption, and communication, occupy more and more space, both physically and conceptually.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ain the trend of changing forms of places by using the concept of non-place that was introduced by the French anthropologist Marc Aug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uge's non-place, which was inexplicable by the previously known concept,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non-places. (Method)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this research attempts to review the cultural phenomenon that was created by non-places of modern societies. First, we will understand the concept of non-place as well as compare and contrast non-places with conventional places to explicate the characteristics of Auge's non-places. Second, we clearly define non-place spaces by listing the three prominent features of non-places. Third, it supports the characteristics of non-place through case analysis in modern space. Finally, we want to summarize the conclusions and demonstrate the expanding trend of non-places, as well as the need for a theory of non-place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reviewed the spatial mobility, expansionary spatial temporality, and symbolicity of Sign Image and Text. Moreover, non-places are characterized by solitary individuality, disposability, impermanency, and temporality. These non-places are contrasted by conventional anthropological places. Non-places are the byproducts of solitary contracts that can be exemplified by public transportation and transit. (Conclusions) We contrasted the concept of "non-place" in modern society against the traditional concept of "place," and described the rapid transition to non-places. In modern cities, spatial expansion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transcendental spatial temporality, and abundance of images and texts presented by the media transform our experiences of places. As the experience of non-places becomes commonplace, we need to define, articulate, standardize, and develop the concept of non-place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장소성 정의 및 개념 연구
홍성희 ; 박준서 ; 임승빈 - 한국경관학회 학술발표대회 : v.2011 n.1 (201104)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
현대건축의 타자적 경계공간에 관한 연구
최순섭(Choi Soon-Sub) ; 김형준(Kim Hyoung-Jun) ; 전영훈(Jeon Young-Hoon) ; 김광현(Kim Kwa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4 (200604)
마크 오제의 `비-장소` 로 본 이동성의 도시건축공간과 장소
정혜진(Jung, Hye-J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1 No.03 (201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