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저자명 박수린(Soolin Park) ; 이정교(Jungkyo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6 (2018-12)
페이지 시작페이지(155)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유휴산업시설 ; 복합문화공간 ; 커뮤니티공간 ; 재생공간 ; 공간특성//Idle industrial facilities ; Complex cultural space ; Community space ; Recreational space ; Spatial characteristics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탈산업화의 과정으로 도시 내 구조 변화와 함께 생산적 활동을 하던 다수의 생산시설들이 유휴산업시설로 남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성을 다한 유휴산업시설들이 현재는 시대적 역사성을 내포한 가치 있는 공간으로 인식이 바뀌어가고 있다. 활용적인 가치를 가진 유휴산업시설을 여러 가지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다양한 예술·문화를 활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 재생과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유휴산업시설 재생의 특성과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종합하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요소 다섯 가지를 도출한다. 그 결과로 역사적 상징성, 공간적 복합성, 예술적 전문성, 문화적 참여성, 장소적 접근성의 다섯가지 공간적 특성 요소를 도출하여 각 사례에 적용한다. 사례분석으로 국내 유휴산업시설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된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활발하게 운영 중인 곳으로 선정한다. 성수동 대림창고 갤러리 컬럼, 인사동의 인사1길 컬처 스페이스, 부천 아트벙커 B39, 부산 F1963, 전라도 완주 삼례문화예술촌의 다섯 장소를 선정하여 현 상황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다이어그램 화하여 소결을 도출한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는 다섯가지 특성 요소 중 공통적으로 역사적 상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휴산업시설에 대한 시대적인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공간적 복합성은 다양한 컨텐츠를 한 공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될 수 있는 점에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에 부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이어서 문화공간의 가치를 형성하는 예술적 전문성이 기반이 되어야하며 이는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자발적인 문화적 참여성을 높인다. (결론) 본 연구는 유휴산업의 역사적 중요성과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간적 특성에 대하여 세 가지로 결론을 내린다. 첫째, 시대적 가치를 통해 시간성의 경험을 제공하여 교육적인 자료로써 지속가능한 공간자원이 되고 둘째, 유동적인 공간의 활용으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이 표현되어 다양한 목적을 수용할 수 있으며, 셋째, 작가들과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예술·문화 활동을 높여 지역발전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하는 복합문화공간은 본래 가지고 있는 역사적 상징성에 대한 가치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As a result of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production facilities that were active in the structural changes of cities were left as idle industrial facilities. Public perception of these facilities is now changing; they are seen as valuable spaces that contain historical features. I would like to propose a direction to utilize diverse cultures through spatial characteristics by reproduc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with useful value as a multicultural space. (Method) In this study, we draw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the nine characteristics of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fiv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by making a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the same as previous studies and summarizing the cont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symbolism, spatial complexity, artistic expertise, participation of culture, and accessibility of place, we select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actively operated through various programs on the basis of their being used as complex cultural spaces. We chose five places: Seongsu-dong Daelim Warehouse Gallery Column, Insa-dong Insadong 1 Gil Culture Space, Bucheon art bunker B39, Busan F1963, and Jeollado Wanju Samnye culture art village. Through the case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and drew conclusions by diagramming the analysis contents. (Results) The diagram showed that historical symbolism was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five characteristic factors, which could be regarded as a basis for a high evaluation of the periodic valu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study suggests the feasibility of using such facilit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as they can bring various contents together through their spatial complexity. As artistic expertise was backed up, participation of culture also increased naturally, there were limitations in accordance with location; the accessibility of places utilized exis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For these characteristics, Daelim Warehouse Gallery Column could be regarded as a case well-suite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s it showed a high level in the multi-faceted area.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idle industry and the spatial necessity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concludes three points about spatial characteristics. First, it provides the experience of temporality through the value of time, and it becomes a sustainable space resource as educational material. Second, it can expres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by utilizing flexible space. Third, users are encourag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thereby enhancing the potential of local development by raising artistic and cultural activities.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is being utilized as a space in which users can participate voluntarily based on the value of the space's original historical symbolism.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나선영(Sunyoung R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2 (201704)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도심 중·소규모 폐산업시설 재생 건축 계획 특성 조사연구 - 성수동 일대 복합문화공간 사례 중심으로 -
정영호(Jeong, Young-Ho) ; 이상윤(Lee, Sang-Yu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1 (20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