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체험요소를 활용한 라이프스타일 숍의 스페이스 브랜딩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Branding of Lifestyle Shop Using Experience Elements
저자명 이수현(Suhyun Lee) ; 이재규(Jaekyu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3 No.06 (2018-12)
페이지 시작페이지(359)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스페이스 브랜딩 ; 라이프스타일 숍 ; 체험 요소 ; 이케아 ; 무지//Space Branding ; Lifestyle Shop ; Experience Element ; IKEA ; MUJI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경제 성장과 함께 생활수준의 향상을 이룬 소비자들이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과 맞물려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것이 바로 라이프스타일 숍이다. 라이프스타일 숍은 우리 생활 전반에 필요한 제품들을 특정한 컨셉에 맞춰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제안한다. 이미 해외에서는 여러 라이프스타일 숍들이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영향을 받아 국내에서도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숍이 등장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숍의 차별화된 스페이스 브랜딩은 필수적이게 되었다. 제품만으로 경쟁하던 전통 마케팅에서 소비자를 중시하는 체험마케팅으로 중심이 이동하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소비자에게 경험을 제공 할 수 있는 체험 요소를 활용하는 것이 스페이스 브랜딩의 새로운 전략이라고 보며, 그에 따른 기초 자료 구축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과 라이프스타일 숍에 대해서 알아본 후, 선행 연구를 통해 스페이스 브랜딩의 5가지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Pine & Gilmore가 주장한 체험이론을 바탕으로 4가지 체험요소를 정리한 후, 스페이스 브랜딩의 구성요소와 체험요소를 분석요소로 활용해 분석 도구를 설계한다. 라이프스타일 숍의 대표사례를 찾아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판매 공간, 식음 공간, 문화 공간, 휴게 공간으로 나누어 사례 분석을 실시한다. (결과) 이케아의 경우 대부분의 공간에서 체험 요소와 스페이스 브랜딩 요소들이 고르게 활용 되었으며 스페이스 브랜딩의 요소 중, 특히 시각성과 체험성을 주로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지의 경우 이케아의 경우보다는 스페이스 브랜딩의 요소 활용이 적었으며, 제품과 관련된 요소보다는 공간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에서 스페이스 브랜딩의 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체험 요소 중에서는 교육 체험의 활용이 가장 많았으며, 미적 체험의 요소 활용이 가장 적었다. 무지와 이케아, 두 라이프스타일 숍 모두 체험 요소를 활용했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 있었다. (결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이케아와 무지는 스페이스 브랜딩에 체험 요소를 사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체험 요소를 활용할수록 브랜드의 성장과 매출 증대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라이프스타일 숍의 스페이스 브랜딩 시 체험 요소의 활용이 적극 도입되어야 한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5가지 체험요소에 대한 선호도 조사와 다양한 국내·외 라이프스타일 숍에 대한 조사가 진행된다면 더욱 명확한 체험 요소의 활용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Consumers who have improved their living standards with economic growth have started to pursue individuality. Lifestyle shops are growing rapidly in line with this situation. These shops not only provide products that are necessary for daily needs, they suggest a new lifestyle that can satisfy consumers' desires. Overseas, many lifestyle shops have already entered the world market, and a new lifestyle shop is now emerging in Korea. Therefore, differentiated space branding of lifestyle shops became essential to allow these shops to survive among this fierce competition. In this situation, the focus is shifting from traditional marketing that competes only with products to experiential marketing that focuses on consumers. This research sees the use of experiential elements as a new strategy of space branding. (Method) To clarify the background of the study, we examine foundational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shops and then define five components of space branding through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 experience theory proposed by Pine and Gilmore, the four elements of experience are summarized, and the analysis tool is designed by using the components and experience elements of space branding as analysis elements. The representative case of the lifestyle shop is selected for the case analysis and is divided into the sales space, the food and drink space, the cultural space, and the rest space. (Results) In the case of IKEA, experiential elements and space branding elements were utilized in most of the spaces, and space branding, especially visuality and experience, was mainly used. In the case of ignorance, the use of space branding was less than that of IKEA, and the elements of space branding were found in various programs operated in the space rather than those related to products. Among the experiential factors, education experience was used most and aesthetic experience was used least. Both lifestyle shops used experience elements and achieved positive results. (Conclusions) IKEA and Muji, which have grown into global corporations, used experiential elements in space branding. The more they use the experience elements, the more positive the brand growth and sales increase. Therefore, the use of experience elements should be actively introduced in the space branding of lifestyle shops. Based on this research, experience factors can be utilized as a clear space branding strategy by investigating preferences of five experience factors and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lifestyle shop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이케아 카탈로그에 나타난 공간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재성(Kim, Jae-Sung) ; 이원재(Lee, Won-Jea)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4 No.4(통권 111호) (201508)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나선영(Sunyoung R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2 No.02 (201704)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