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국내 공공청사 공간디자인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 시민문화공간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Space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s in Korea - Focusing on Citizen Cultural Space -
저자명 류혜지(Hyeji Ryu)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01 (2019-02)
페이지 시작페이지(93)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국내 ; 공공청사 ; 공간디자인 ; 시민문화공간 ; 사례 연구//Korea ; Public building ; Space design ; Citizen cultural space ; Case study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지방자치시대 이후 공공청사는 주로 사용하는 공무원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도 같이 이용하는 공간의 기능이 늘어나면서, 주민에게 편의를 주고 청사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시민문화공간은 지역주민을 위해 공공청사의 외부와 내부에 조성된 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말하며, 공공청사의 공간구성에서 가장 바람직한 공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청사의 공간 디자인을 시민문화공간 위주로 분석, 파악하여 미래지향적인 공공청사를 디자인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우리나라 공공청사 중에서 1999년부터 2014년까지 지방에 지어진 6곳의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한정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로 진행되며, 공공청사의 공간과 시민문화공간에 대해 관련 논문, 책, 인터넷 자료에 대해 문헌고찰을 한다. 다음은 선정된 공공청사를 직접 방문 후 현장조사를 하여 시민문화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공공청사 건축 형태에서 2010년 이전에 지어진 공공청사는 고층 건물 형태가 대부분이었고, 지상 1층뿐만 아니라 가장 높은 층에 옥상정원이나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지역주민이 사용할 수 있는 시민문화공간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2010년 이후에 지어진 공공청사인 경우는 고층형이 아니라 낮은 층수로 구성되어 있고 옆으로 분산되어 있는 공간 배치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 지상 1층에 주로 시민문화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둘째, 공공청사 본청사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지상 1층에 시민문화공간이 가장 많이 위치해 있었고 다음으로 지하 1층, 지상 2층 이상 순서로 배치되어 있었다. 셋째, 가장 많이 조성된 시민문화공간의 기능은 지하 1층은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이 유일했고, 지상 1층에는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 공동체 의식 강화, 지역 정체성 확보, 예술 접근 기회 확대, 시민 교육 순서였다. 지상 2층 이상은 지역 정체성 확보,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 시민 교육, 공동체 의식 강화와 예술 접근 기회 확대 순서였다. 넷째, 가장 많이 조성된 시민문화공간 시설은 지상 1층과 지하 1층 모두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의 기능 중에서 편의의 성격을 갖는 은행, 우체국, 이미용실, 여행사, 보험사, 구두수선소, 서점 등이었다. (결론) 시민문화공간의 위치는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이 가장 좋은 지상 1층을 잘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고층 건물인 경우는 최고층을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하여 시민문화공간을 확대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 현재 시민문화공간은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의 기능이 가장 많이 있지만, 앞으로는 지역주민의 예술 접근 기회 확대, 지역 정체성 확보, 시민 교육, 공동체 의식 강화 기능 등을 더 확충하여 시민문화공간이 다양한 기능과 형식으로 늘어나고 강화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Citizen cultural space refers to a place where local residents can enjoy the culture created outside and inside the public office building, an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desirable space i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public build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signing future-oriented public office buildings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space design of public office buildings with a focus on citizen cultural space.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six public buildings built in a specific Korean locale between 1999 to 2014.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nd sites were survey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 cultural space at select public office buildings. (Results) First, public office buildings built before 2010 were mostly high-rise buildings that provide a citizen cultural space that could be used by local residents for creating a rooftop garden or some other complex cultural space, both on the top floor and the ground floor. Second, in the main public office buildings, citizen cultural space was mostly located on the first ground floor, followed by the first underground level and the second floor. Third, the first underground level only featured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the most advanced function of citizen cultural space on the ground floor was the provision of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followed by the strengthening of community awareness, securement of local identity, an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access arts and civic education; and the most advanced function on the second floor was the securement of local identity followed by the provision of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civic education, strengthening of community awareness, an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access arts. Fourth,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facilities of citizen cultural space among the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on first ground floor and first underground level were banks, post offices, beauty salons, travel agencies, insurance companies, shoe repair shops, and bookstores, all of which have a character of convenience. (Conclusions) The first ground floor where residents have the best accessibility should be well utilized for citizen cultural space, and,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the top floor should be opened up for the residents so that citizen cultural space can be enlarged for greater use. Furth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nd expand citizen cultural space to various functions and forms by further expanding such functions as the opportunity for local residents to access the arts.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지역거점 공공청사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박항섭(Park, Hang-Sub) ; 이관석(Lee, Kwan-Seok)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60호 (201711)
공공청사 공용공간의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시청청사를 중심으로 -
봉혜윤(Bong, Hae-yoon) ; 윤은경(Yun, Yean-kyung)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2호 (201810)
공공청사 건축디자인 기준 설정 방안 연구
염철호 ; 임현성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2 (2010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내 지자체 공공청사의 공간조직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최윤경 ; 현창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6(통권 89호) (201112)
공공청사 아트리움공간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최혁열 ; 최윤경 ; 전영훈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46호 (20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