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태안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 슬래그의 특성 / Characteristic Taean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slag / session 3 : 내구성
저자명 김병관(Kim, Byoung Kwan) ; 이보경(Lee, Bo Kyeong) ; 이수정(Lee, Sujeong) ; 전철민(Chon, Chul Min)
발행사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수록사항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8 n.1 (2018-04)
페이지 시작페이지(55) 총페이지(4)
주제분류 재료
요약1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은 석탄을 고온/고압의 조건에서 산소 및 증기와 반응시켜 발생하는 합성가스를 이용해 수소·화학원료, 석탄액화, 대체천연가스를 생산하는 친환경, 고효율 에너지 생산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안 IGCC에서 발생하는 IGCC 슬래그의 특성을 건식 체가름, XRF, XRD, DTA/TG, FT-IR, 에틸렌 글리콜법을 통해 IGCC 슬래그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건식체가름 결과 IGCC 슬래그는 -45㎛∼+1000㎛ 까지 다양한 입도 분포를 나타냈으며, XRF 분석 결과 SiO2가 48.1 wt%, Al2O3는 21.0 wt%, CaO는 20.6 wt% 으로 나타났다. IGCC 슬래그는 비정질 특성이 우세하며 비정질은 Si, Al, Ca, Fe 성분이 주를 이루었다. IGCC 슬래그의 에틸렌 글리콜법 결과 유리석회는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정도로 미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IGCC 슬래그의 기본적인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향후 IGCC 슬래그의 활용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2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IGCC) is an clean and highly efficient energy production technology that produces hydrogen and chemical raw materials, coal liquefaction and an alternative natural gas using syngas generated by reacting coal with oxygen and steam under high temperature/high pressure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IGCC slag generated from Taean IGCC were investigated by dry sieve test, XRF, XRD, DTA/TG, FT-IR and ethylene glycol method. As a result of the dry sieve test, the IGCC slag showed various particle size distribution from -45 ㎛ to + 1000 ㎛. The XRF analysis showed that SiO2 was 48.1 wt%, Al2O3 was 21.0 wt%, and CaO was 20.6 wt%. IGCC slag had an predominantly amorphous characteristic which was composed of mainly Si, Al, Ca and Fe. As a result of the ethylene glycol method of IGCC slag, it was considered that free lime was not present or was present in a trace amount which was considered not present. Through this study, we could understand basic characteristics of IGCC slag, it will provide information to utilize IGCC slag in the future.
소장처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석탄가스화 용융슬래그(CGS)의 활용성 분석
박경택; 한민철; 현승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 Vol.7 No.2 (201906)
듀로미터를 이용한 3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추정
한민철(Min-Cheol Han) ; 이혁주(Hyuk-Ju Lee)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 Vol.8 No.1 (202003)
Durometer를 이용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판정 방법
한민철(Han, Min-Cheol) ; 신용섭(Shin, Yong-Sub) ; 한인덕(Han, In-D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Vol.35 No.09 (201909)
석탄 가스화 복합발전(IGCC) 슬래그미분말의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의 활용에 관한 기초적 연구
박용규(Park, Yong-Kyu) ; 고효진(Ko, Hyo-Jin) ; 김현우(Kim, Hyun-Woo) ; 윤기원(Yoon, Gi-Won)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 Vol.17 n.1 (201704)
당분류의 초지연제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응결 및 역학적 특성
한천구 ; 한민철 ; 윤치환 ; 심보길 -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 Vol.14 No.4 (200208)
고무경도계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추정 가능성 분석
한민철(Min-Cheol Han) ; 한인덕(In-Deok Han) ; 신용섭(Yong-Sub Shin)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 Vol.7 No.4 (201912)
시멘트 생산 시 발생하는 Chlorine Bypass System-dust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
한민철(Min-Cheol Han) ; 이동주(Dong-Joo Lee)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 Vol.7 No.4 (201912)
석탄가스화발전 용융슬래그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빈배합 모르타르의 특성 분석
박경택(Park, Kyung-Taek) ; 한민철(Han, Min-Cheol) ; 현승용(Hyun, Seung-Yong) -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 Vol.19 No.5 (201910)
일본 건축학회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JASS 5 철근 콘크리트 공사 」개정 개요
마스다 요시히로 -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기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v.10 n.1(통권 제18호) - 산업계 (201005)
응결시간 추정기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마감시간 관리의 가능성 분석
한수환(Han, Soo-Hwan) ; 김종(Kim, Jong) ; 한민철(Han, Min-Cheol) ; 한천구(Han, Cheon-G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8 No.3 (20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