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동주택 거주자의 공유공간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Resident Recognition of Common Space in Apartment
저자명 한민승(Han, Min-Seung) ; 황희준(Whang, Hee-Joo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5 No.04 (2019-04)
페이지 시작페이지(45) 총페이지(8)
ISSN 1226-9093
주제분류 도시 / 역사
주제어 공유공간 ; 반-사적 공간 ; 반-공적 공간 ; 인식범위 ; 행위//Common space ; Semi-private space ; Semi-public space ; Recognition range ; Behavior
요약1 공동주택에서 나타나는 공유공간은 이웃 간 사회적 교류를 증대시키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중요 요소로서 주목받고 있다.??판상형 아파트 거주민을 대상으로 반-사적 공간은 주호현관 앞, 주동입구, 엘리베이터, 복도 순으로 강하게 인식하며, 충족하는 기능은 소속감의 증대, 소유의식의 형성, 방어적 기능이다. 반-공적 공간은 놀이터, 벤치/정자, 운동공간, 산책로 순으로 강하게 인식하며, 충족하는 기능은 사회적 접촉의 증가, 부차적인 활동공간으로서의 기능이다. 향후 공동주택의 공유공간 설계시 특성에 따른 공유공간의 차별화된 계획이 필요하다.
요약2 The most ordinary form of residential type in Korea is a plate-type apartment, and the common space in these apartment is attracting as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social exchanges among neighbors and forming community consciousness. In addition, it provides a sense of psychological security by enabling natural exchanges and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It is desirable to plan the flow of space in such a way that private, semi-private, semi-public, and public spaces are linked. Semi-private and semi-public spaces can be defined as common spaces. Semi-private spaces are strongly recognized in the order of unit household entrance, main entrance, elevator, corridor, staircase, playground, bench, trail, walkway and parking lot, exercise space, main/back gate, the ability to gratify is increased sense of belonging, ownership consciousness formation, defensive function. Semi-public space is strongly recognized in the order of playground, bench, exercise space, trail, main entrance, walkway and parking lot, unit household entrance, main/back gate, corridor, staircase, elevator, the ability to gratify is increase of social contact, Secondary activity space function. In addition, the function to gratify in the common space differ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among resident characteristics, and differs according to corridor type, parking lot type and main entrance type. Therefore, differentiated planning of common space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se differences in the design of common space in future.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도심형 소규모 공동주택에서 공유공간 활성화에 관한 연구
조웅희(Cho, Ung-Hui) ; 임종엽(Lim, Jong-Yup)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7 No.2 (201710)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SANAA 주거건축의 공유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전영훈(Jeon, Young Hoon ) ; 권순화(Kwon, Soon Hwa)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58호 (201705)
공동주택 공유공간 연구의 흐름에 관한 연구
이학성(Lee, Hak-Sung) ; 안소미(An, So-Mi) ; 이연숙(Lee, Yeun-Sook)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3(통권 128호) (201806)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