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기능에서 상징으로: 평양역사 건설, 1907?1958 / From the Functional to the Monumental: The Construction of the Pyongyang Station, 1907?1958
저자명 박동민(Park, Dongmi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5 No.04 (2019-04)
페이지 시작페이지(115)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이론
주제어 북한 ; 평양 ; 평양역 ; 전후복구 ; 사회주의 리얼리즘//North Korea ; Pyongyang ; Pyongyang Station ; Postwar Reconstruction ; Socialist Realism
요약1 평양역사는 1907년 일본의 조선반도 지배와 대륙침략을 위한 중요한 기착점으로 시작했다. 하지만, 점차 평양이 그 규모와 정치적 의미가 커지자 기능적 필요뿐만 아니라 이 도시의 위엄을 상징할 기념비로서의 철도역사가 요구되었다. 기능적 확장과 기념비성의 추구라는 두 개의 요구는 1958년에 완성된 평양역사에서 처음으로 동시에 해결된다. 처음의 단층 목조건물은 이후 평양이 소련군정을 거쳐 마침내 새로운 사회주의 국가의 수도가 되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원칙에 따라 서양의 고전건축과 조선의 전통건축이 조합된 건물로 다시 탄생한다.
요약2 Construction of the Pyongyang Railroad Station began in 1907 as an important foothold for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urther invasion of Manchuria. As Pyongyang gradually grew in size and political significance, the Pyongyang Station came to have two responsibilities: Fulfill its functional role and serve as a monument to the growing dignity of the city. This study argues that the Pyongyang Station, newly rebuilt in 1958, was the first building to solve the demands for both functional expansion and the pursuit of monumentality. Stylistically, the original single-story wooden building became a three-story classical masonry building. The stylistic change symbolizes the political shift by which the building was reconstructed. The simple wooden building built by the Japanese, representing Pyongyang's status as a colonial provincial town, was transformed into an imposing gateway for the capital city of a newly born socialist state. Socialist Realism, correctly described by its slogan "socialist in content and national in form," harmoniously blended classical architecture, socialist symbols, and Korean local motif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llustrates the historical changes and continuity of the Pyongyang Station from 1907, when it was first built, through the "liberated space" to the postwar reconstruction period of the 1950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건축가 김정희와 평양시 복구 총 계획도: 신화와 역사
박동민(Park, Dongmi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2(통권 117호) (201804)
평양의 전후재건과 그 건설가들
박동민(Park, Dongmin)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71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논문] 팔작지붕과 북한의 현대 조선식 건축: 선택과 배제
박동민(Park, Dongmin)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8 No.2(통권 123호) (201904)
현대 조선식 건축의 탄생
박동민(Park, Dong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10 (201810)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논문] 존 헤이덕 건축에서의 시선과 응시
이종건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4 n.3(통권 43호) (200509)
미네소타 프로젝트
박동민(Park, Dongmi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9 (201809)
존 헤이덕 건축에서 ‘메두사의 가면’의 의미에 관한 연구
이종건(Lee, Jong-Keun) ; 김수현(KimSoo-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01 (201201)
1930년대 소비에트 공동주택을 통해서 본 건축의 사회적 역할
지강일(Ji, Kang-Il) ; 우동선(WooDon-S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12 (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