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카페 공간의 오감과 감성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Five-Sense and Affective Design in Cafe Space
저자명 채호진(Hojin Chae) ; 이정교(Junggyo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02 (2019-04)
페이지 시작페이지(21)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카페 ; 오감 ; 공감각 ; 감성디자인 ; 공간디자인//Cafe ; Five-senses ; Synesthesia ; Affective design ; Spatial desig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나라 카페시장은 과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다. 카페는 사람들이 단순히 커피를 마시고 휴식을 취하는 것은 물론이고, 만남, 개인 작업, 여가활동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곳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독창적인 이색카페를 찾아다니며 새로운 경험과 각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속으로 일상화하는 소비를 하고 싶어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카페는 이용객들의 니즈와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지 못할뿐더러, 독특함과 차별화로 고객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하면서, 단편적인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카페가 가지고 있어야 할 순기능과 오감요소를 적용한 차별화된 감성디자인 표현이 적용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페 공간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이론고찰을 통해 카페 공간의 공간적 의미와 감성 공간 표현 연출특성 필요 요소를 도출하여 감성디자인 표현 요소로 활용한다. 이러한 인자요소를 통해 카페의 감성디자인 평가를 위한 상관관계의 평가모형을 제안하며 오감과 공간 감성디자인 요소들의 상관적 관계와 당위성을 도출한다. 그리고 분석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카페 공간에 필요한 표현요소를 추출하고,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오감요소를 통해 사례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각 카페 공간들은 일률적인 매장 연출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원츠에 맞게 연출하려고 하였다. 또한 카페가 추구하는 공간의 감성이 다르지만 다른 카페에서 경험할 수 없는 감성적 경험의 공유와 서비스를 통해 차별화를 추구하려고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각 카페 공간들은 공간의 의미나 방문객의 방문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표현요소들을 우선으로 공간연구를 통해서 제공하여 독특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카페 공간에서 오감을 바탕으로 한 공간의 특성, 감성디자인의 표현 요소 6가지 중, 방문자의 목적이나, 그 장소의 위치에 따라 우선시해야 하는 표현요소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하나의 방향으로만 집중된 디자인 표현은 일관성과 독특성 있는 카페 공간으로 연출이 될 수 있으나, 그 공간들은 니즈들의 다양한 원츠를 반영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앞으로 차별화된 감성 공간 요구의 특성 이해 및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현시대에 필요한 오감이 적용된 감성디자인 카페 공간 연구가 활성화되길 바라는 것이 의의라 할 수 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South Korean cafe market has become over-saturated. Cafes are places where people not only drink coffee and relax but also spend time for meetings, working on personal duties, and leisure activities. 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visit exotic cafes and consume new experiences within the individual's daily lifestyle. However, most cafes do not reflect the needs of consumers and their lifestyles, and they offer only fragmentary services, under-performing and failing to satisfy customers with their uniqueness or differenti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a study on cafe spaces, to provide a new concept of service that all cafe should have, with a differentiated affective design applied to a positive function and the five senses. (Method) This research derives the spatial meaning of cafe spaces and the necessary elements of affective space expression directing characteristics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reflection, and utilizes them as elements of design expression. Through these parameters and factors, we propose the evaluation model for assessing the affective design of cafes, and derive the correlation and justification of elements including five senses and affective space designs. Based on the factors analyzed, this research aims to extract the necessary expression elements in the cafe space and propose the case analysis model through the five sens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pace. (Result)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each cafe's space was designed to fit the consumers' demand for something new, instead of a ordinary store presentation. It was also indicated that the cafe sought differentiation through service and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that it could not experience in other cafes even if the direction of express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meaning of the space and the purpose of the consumers' visit, different elements of expression were first provided through space research to reveal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Conclusion) We could see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based on five senses and six elements of expression of affective design, there were expressions that should be prioriti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visitor or the location of the place. However, design expression focused on only one direction could be directed into a consistent and unique cafe space, but it was also reflecting that the many spaces did not reflect the various demands of the consumers.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our hope to be able to offer this research as fundamental data and understanding of affective design in the future and wish to enlighten affective design cafe space research that requires five-sense of this era.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카페의 공간특성에 따른 이용행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강희(Lee. Kang-Hee) ; 양재혁(Yang. Jae-Hyuc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8 (200408)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서정일(Seo Jeong-Il) ; 임리사(Lim Lis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10 (201010)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피터 줌터의 작품에 나타난 재료와 빛의 공간적 영향에 관한 연구
김자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5(통권 88호) (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