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창의력과 감성 증진을 위한 교육공간 리노베이션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교육청의 "꿈을 담은 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novation of Educational Space for Promoting Creativity and Sensibility - Focused on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Dreaming Classroom" -
저자명 배지윤(Bae, Jiyoon) ; 김우종(Kim, Woojong) ; 이경선(Lee, Kyung Sun)
발행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28 No.2(통권 133호) (2019-04)
페이지 시작페이지(12) 총페이지(12)
ISSN 12297992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주제어 교육제도의 변화 ; 감성교육공간 ; 아동발달환경 ; 창의적 공간 디자인 ; 교실 리노베이션//Changes in Education System ; Emotional Education Space ; Child Development Environment ; Creative Education Space Design ; Classroom Renovation
요약2 Recently, the aging of school facilities is rapidly progressing with the low birth rate, chang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revolution of social structure should be accompanied. School should no longer be a place for one-sided knowledge transfer, but should promote the Sociability for children. In addition, recent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is inevitable for school's values. Therefore, this study included the theoretical research of space design which positively plays a role in chil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research has explored a new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space that supports the creative environment of the child's emotional development focused on case study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Dreaming Classroom".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emotion, the importance of creative education space and emotional space on children's development will b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form with space design elements that promote emotion and creativity will be identifi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expressed case study of "Dreaming Classroom" are analyzed. Finally,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nd educational space are examined for a new spatial mode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 for a spatial mod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supports stimulation environment of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소장처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리노베이션에 대한 한 사례연구
주범(Chu Beom)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9 n.11 (200311)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