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가로패턴의 유형을 응용한 신앙공동체마을의 배치계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aster Plan of a Religious Community Complexes Applying the Types of the Urban Street Patterns
저자명 박창근(Park, Chang Geun)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5 No.07 (2019-07)
페이지 시작페이지(63) 총페이지(10)
ISSN 1226-9093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도시형태의 유형; 가로공간의 도시; 가로체계의 유형; 연속적 패턴; 분화적인 전개; 연속적인 전개; 가로공간의 형태; 가로공 간의 경계와 입구; 도시가로와 건축가로//Types of Urban Form; City of Street Space; Types of Street Patterns; Serial Pattern; Differential Development, Sequential Development; Form of Street Space; Boundary and Gate of Street Space; Urban Street and Architectural Street
요약1 연구의 목적은 도시공간조직의 뼈대 역할을 하는 도시가로체계와 가로공간의 전개와 구성방식 그리고 세부적인 형태를 분석하여 신앙공동체마을의 배치계획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설계의 목표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능공간들은 건물매스에 의해서 구분되고 그 사이의 가로공간을 중심으로 연결된다. 2) 가로체계는 위계적으로 구성되며 각 단계의 경계에는 적절한 입구가 형성된다. 3) 가로공간은 구획된 장소가 연속적으로 전개되면서 형성되고 다양한 외부활동을 수용하는 풍부한 장소성을 가진다. 4) 도시가로는 건축가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types of urban street pattern and the shape of streets to the master plan of a religious community
complexes. The street pattern is a framework of urban structure and to understand the urban structure is helpful to understand the nature of
urban streets. By analysing the precedent researches, the types of street patterns are classified as a serial pattern, a branching pattern, a grid
pattern and a web pattern. The street patterns are hierarchically composed and classified as a differential development and sequential
development. There are boundaries and gates where the street space is differentiated to the more private level. The urban streets continue to
the architectural streets such as arcades, deck streets, corridors, lobbies and halls. The purposes and results of the master plan of this
religious community complexes are as follows. 1) The school area, housing area and service area are properly separated and connected. They
are separated by the building masses and connected by the street space in between. 2) The street pattern of this complexes is a serial pattern
where the streets are the center of each functional building groups. The entry square is divided by the symbolic building. The one branch is
school street and the other is living street. These streets are combined again to the festival street. 3) The architectural streets are organically
related to the urban streets. 4) Each street spaces are of adequate form according to its properties as a place. 5) There are boundaries or
gates such as a gab between buildings, posts, arches and deck street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et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단면 구성을 통한 공간 내부 경계의 모호성에 관한 연구
임종엽 ; 이홍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4 n.6(통권 53호) (200512)
건축 공간의 경계 모호성과 투명성
고경호(KO Kyeongho) ; 김덕수(KIM Duk-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7 No.01 (201203)
도시집합주거의 외부공간에서의 중간영역 형성에 관한 연구
박창근(Park, Chang-Ge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12 (20111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