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사회적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본 은혜공동체주택의 특성 연구 / Characteristics of Eunhe Community Housing from Social Sustainability Perspective
저자명 이명아(Myung-A Lee) ; 이연숙(Yeun-Sook Lee)
발행사 한국주거학회
수록사항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30 No.4 (2019-08)
페이지 시작페이지(31) 총페이지(14)
ISSN 2234-3571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사회적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 공동체주택; 셰어하우스; 커뮤니티 // Social Sustainability; Sustainability; Community Housing; Share House; Community
요약1 최근 다양한 공동체주택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공동체 주택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주거로서 정착하기 위하여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요소를 도출하고, 최근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는 공동체주택 모범 사례인 은혜공동체주택을 중심으로 사회적 지속가능성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조사를 통해 사회적 지속가능성 분석틀을 추출하였으며, 이 후 현장조사 및 면담, 전문가 세미나 등을 통해 대상주택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증진하는 데 있어 건축적 특성이 도구로써 적극 활용되었다. 둘째, 거주자들간의 공동체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다양한 컨텐츠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사회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유사성이 높은 인적 네트워크 및 공동체 결집에 있어 구심점의 유무가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넷째, 사회통합과 지역발전과 같은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은혜공동체 주택은 다양한 사회변화와 요구에 대응하여 사회문제를 공동체를 통해 해결하고자 만들어진 하나의 대안 주거로써, 사회적 지속성 측면에서 공동체주택이 지향하는 사회 생태계를 그 안에 구축했다는 점에서 좋은 사례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동체주택의 보급과 확산을 너머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한 시점에, 공동체 주택이 향후 지속성을 갖고 정착할 수 있도록 공동체주택 개발 및 운영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social sustainability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y housing model which is recently receiving social atten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is Eunhe Community housing, which is discussed as a good example of community-based housing as well as the design aspects of architecture. The research method is to extract social sustainability factors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analyze social sustain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housing through the field survey, interviews, and expert semina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re actively used as tools to promote social sustainability. Second, various cont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community activation among residents. Third, a highly similar human network and the existence of the center point are important in enhancing community cohesion in terms of social sustainabil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ocial sustainability from a macro and long-term perspective such as social integr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Eunhe Community housing is an alternative housing that is designed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through a community and a good example of building the social ecosystem for community housing in terms of social sustainability.
소장처 한국주거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공동체주택 사례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공간구성 연구
김용(Kim, Yong) ; 황한선(Hwang Han-Sun) ; 오세규(Oh, Se-Gyu)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20 n.03 (통권85호) (2018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일본의 보찌보찌나가야 다세대공동주택의 유형학적 특성 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 Eun-Jung) ; 김민주(Kim, Min-Joo) ; 안소미(Ahn, So-Mi)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8 No.4 (201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