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육아가구 공동체주택 계획을 위한 패턴언어 추출 연구 / Extraction of Pattern Language for Communal Housing of Families with Children
저자명 임예지(Lim, Yea-Ji) ; 이연숙(Lee, Yeun-Sook)
발행사 대한건축학회
수록사항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35 No.09 (2019-09)
페이지 시작페이지(77) 총페이지(12)
ISSN 1226-9093
주제분류 이론 / 계획및설계
주제어 아동; 육아가구; 공동체주택; 패턴언어 // Child; Families with children; Communal housing; Pattern language
요약1 본 연구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아동을 키우기에 좋은 양육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것에서 시작하였다. 공동체주택은 커뮤니티 공간에서 전문적인 보육환경과 육아가구의 공동생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주택이다. 아동의 발달과 양육자의 생활을 지원하는 환경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을 계획하는 데 있어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침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육아가구 공동체주택 계획을 위한 패턴언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두 단계이다. 첫 번째??아동 및 육아가구 환경에 관한 패턴언어 및 디자인지침을 제시하고 있는 문헌분석을 하였다. 두 번째 유아동 교육, 여성·가족 및 환경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하였다. 도출된 패턴언어가 지닌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단위주거공간에서는 편리성과 안전·안심, 안락성 개념이 매개공간에서는 이동성, 안전·안심 및 편리성 개념이, 커뮤니티 공간에서는 편리성, 안전·안심, 통제 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Second 본 연구의 패턴언어는 오랜 시간을 지니고 중요하다고 검증된 항목들과 육아가구에 적합한 환경디자인 개념을 공동체주택에 접목시켰다. 그래서 기존의 패턴언어나 디자인지침과는 차별적 계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요약2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im of creating a parenting environment for raising childre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Communal housing is a type of housing where professional childcare environment and lives of family with children can be achieved in
community space. It is an environment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and life of family. However, there is no guidance system
for planning such an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attern language for communal housing of families with children.
The research method comes in two steps. First, the documents that provided pattern language and design guidelines about the environment
of child and families with children were analyzed. Second, experts specialized in child education, women and family, environmental design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derived pattern language, convenience, safe·feeling, comfortability in residential
unit, movement, safe·feeling, convenience in intermediate space convenience, safe·feeling, control in community space were high. The pattern
language of this study grafted the items that have proven to be important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environmental design
concepts for families with children in the community space. So it enabled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pattern language or design
guidelines.
소장처 대한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육아를 지원하는 공동체주택 사례분석
임예지(Lim, Yea-Ji) ; 이연숙(Lee, Yeun-Sook) ; 조승연(Cho, Seung-yeo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20권 2호 (201810)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일본 정부와 민간의 육아지원 공동주택 가이드라인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 Eun-Jung) ; 안소미(An, So-Mi)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6 No.2 (201610)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육아모의 육아커뮤니티 경험을 통한 육아커뮤니티 센터의 공간서비스에 대한 요구
김효정(Hyo-Jeong Kim) ; 박경옥(Kyoung-Ok Park)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30 No.5 (201910)
일본의 보찌보찌나가야 다세대공동주택의 유형학적 특성 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 Eun-Jung) ; 김민주(Kim, Min-Joo) ; 안소미(Ahn, So-Mi)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8 No.4 (201708)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육아커뮤니티 시설의 공간 ·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들의 요구
김효정(Hyo-Jeong Kim) ; 박경옥(Kyoung-Ok Park)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32 No.1 (202102)
공동육아나눔터의 운영 및 공간구성 개선방안
정현아(Jeong, Hyun-Ah) ; 박소현(Park, So-Hyen) ; 백종관(Baek, Jong-Gwan) ; 김효정(Kim, Hyo-Jeong) ; 박경옥(Park, Kyoung-Ok) -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9 Vol.1(춘계) (20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