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일본의 빈집은행 운영현황 고찰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Empty House Bank in Japan
저자명 이동훈
발행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수록사항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66호 (2019-05)
페이지 시작페이지(101) 총페이지(8)
ISSN 1738-818X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빈집은행; 빈집활용; 지역활성화//Empty House Bank; Empty House Utilization; Regional Revitalization
요약1 본 연구는 빈집의 활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일본의 빈집은행 실태를 파악하고, 운영수법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구축될 국내 빈집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빈집은행은 빈집소유자의 신청을 받아 매매 또는 임대정보를 해당 지역에 정주를 희망하는 자에게 소개하는 시스템으로 기초자치단체가 중심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빈집거래의 활성화를 통해 빈집문제를 해결하고 인구의 신규 유입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하는 두가지 목적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중앙정부차원에서도 전국판 빈집은행을 구축하고 정보를 표준화하여 사용자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빈집은행을 통한 빈집의 거래를 촉진시키기 위해 지역의 빈집현황을 고려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 독려하고 있으며, 당사자간 분쟁발생을 방지하고 계약과정에서 이해당사자간 안심할 수 있는 진행을 도모하기 위해 부동산협회 등과 협약을 통해 원활한 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향후 구축될 국내 빈집정보시스템은 빈집의 적정 관리를 위한 첫걸음이라 할 수 있으며, 소유자와 수요자를 연결함으로써 빈집의 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mpty house bank established for promoting the use of empty houses in Japan, to analyze the management method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empty house information system of Korea. Empty house bank is the system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on empty houses for rent or sale and connects both the house owners and the prospective customers. The local governments usually run the system not only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empty houses through real estate transactions but also to revitalize the area through the population influx. The central government has built the nation-wide empty house banks that provide standardized information to the users with a wider range of choices. The public sector encourages the transactions of empty houses with a variety of incentives reflecting the regional conditions and supports the safe and smooth progress of contract through agreement with the realtor association of the areas. The domestic information system for empty houses will be the first step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empty houses. The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reuse of the empty houses through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소장처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영국의 빈집정비 정책 및 사례 연구
박진경(Park, Jin-Kyung) ; 권혁삼(Kwon, Hyuck-Sam)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1 No.1(통권 제97호) (202002)
쇠퇴지역 빈집 특성 및 빈집 재생 시사점
박성남(Park, Sungnam)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9 No.1(통권 제85호) (201802)
일본의 빈집문제 대응체계에 관한 고찰
이동훈(Lee, Dong-Hoo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1(통권 제79호) (2017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일본의 빈집을 활용한 지역사회 커뮤니티 거점공간 분석
박혜선(Park, Hae-sun) ; 은난순(Eun, Nan-Soon)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의료·복지 건축』 : Vol.24 No.2(통권 71호) (201806)
커뮤니티 재생을 위한 빈집밀집구역의 실태조사와 재생방안 연구
박진경(Park, Jin-Kyung) ; 권혁삼(Kwon, Hyuck-Sam)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5(통권 제95호) (201910)
노후주거지 빈집 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향 연구
유해연(Yoo, Hae-Yeon) ; 이영범(Reigh, Young-Bum) ; 윤혜영(Yoon, Hye-Ye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ol.36 No.07 (202007)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일본의 보찌보찌나가야 다세대공동주택의 유형학적 특성 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 Eun-Jung) ; 김민주(Kim, Min-Joo) ; 안소미(Ahn, So-Mi)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8 No.4 (201708)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전영미(Jeon, Youngmee) ; 김세훈(Kim, Saehoo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1(통권 제73호) (201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