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귀농귀촌인구의 정착을 도모하는 소규모 공동체주택 사용자참여계획 / User Participated Planning of Small Community House for the Returning Population to Forming Village
저자명 이연숙(Yeunsook Lee) ; 전은정(Eunjung Jun) ; 김민주(Minjoo Kim) ; 김혜연(Hyeyeun Kim) ; 박민아(Mina Park) ; 이지연(Jiyeon Lee)
발행사 한국주거학회
수록사항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30 No.6 (2019-12)
페이지 시작페이지(15) 총페이지(13)
ISSN 2234-3571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귀농귀촌 이주; 사용자참여계획; 소규모공동체주택; 주거복지//The Urban-to-Rural Migrant; User Participation Planning; Small Community House; Housing Welfare
요약1 최근 사회변화의 한 현상으로 귀농귀촌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귀농귀촌자의 성공적인 정착에 대한 관심 또한 자연스레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는 귀농귀촌인의 이면에는 다양한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지속적인 생활을 유지하지 못하는 귀농귀촌자도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가구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농촌의 주거환경개선이 시급하며 귀농귀촌가구가 농촌생활에 정착 할 수 있는 주거지원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귀농귀촌자를 대상으로 소규모공동체주택의 계획요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참여계획을 병행한 소규모 워크숍 방법을 사용하였다.
참여자가 자신이 원하는 공동체주택에 대한 의견을 교류하는 방식으로 진행한 소규모공동체주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참여자에 대한 반응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귀농귀촌을 하는 대표적인 연령층인 베이비부머세대 중장년층과, 최근 증가추세에 있는 청년층과 육아가구 세 집단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참여자들이 농촌이라는 환경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적 교류와 사생활을 모두 중시하고 있었으며, 최소의 이웃규모를 원하였다. 또한 상부상조, 품앗이 등의 미풍양송을 농촌에서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건강과 사회적 교류를 중시하는 특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 내 공유공간이 농촌이라는 상황 속에서 개별공간에 고립되거나 어려울 수 있는 문제들을 함께 해결해나가며, 이웃 간 사회적으로 교류하고 지역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의 기능을 통해 저출산 및 고령화문제와 더불어 귀농귀촌을 촉진할 수 있는 인프라 공간으로 부각되었다.
요약2 As a recent social change, the issue of the Urban-to-rural Migrant is being highlighted. Accordingly interest in successful settlement of residents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villages is naturally increasing. Behind the growing number of people returning to farming,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people who could not maintain their lives there because of there is problems. In order to successfully enter to farming villages,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and appropriate housing to support their settl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community house for the people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area which was considered as a useful housing alternated. This study used a small group workshop method and user participated planning. The study consisted of baby boomers who are planning to farming, young people and children who already move to rural a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interested in both social exchange and privacy based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and wanted the minimum number of their neighbors. In addition, they emphasize characteristic promoting health and social exchanges. Through this research value of social community house with shared space as mean to solve the isolation and loneliness problems of living in new village.
소장처 한국주거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일본의 보찌보찌나가야 다세대공동주택의 유형학적 특성 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 Eun-Jung) ; 김민주(Kim, Min-Joo) ; 안소미(Ahn, So-Mi)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ol.28 No.4 (201708)
소규모공동체주택 개발을 위한 고령자 참여 계획 연구
이연숙(Jun, Eun-Jung) ; 전은정(Lee, Yeun-Sook) ; 김혜연(Kim, Hye-Yeun) ; 황윤서(Hwang, Yoon-Seo) ; 황선혜(Hwang, Sun-Hae) ; 조선화(Cho, Sun-Hwa)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8 No.6(통권 137호) (201912)
장애인 소규모공동체주택 계획요소 추출을 위한 이해관계자 참여계획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e, Eun-Jung) ; 박희은(Park, Hee-Eun) ; 김혜연(Kim, Hye-Yeu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4(통권 129호) (201808)
일본 정부와 민간의 육아지원 공동주택 가이드라인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이연숙(Lee, Yeun-Sook) ; 전은정(Jun, Eun-Jung) ; 안소미(An, So-Mi)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6 No.2 (201610)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노인주거계획을 위한 노인가구의 고령기단계에 관한 연구
조성희 ; 전은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0 n.5 (200910)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