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노인요양시설의 치유정원(Therapy Garden)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rapy Garden of Nursing Homes
저자명 권오길(Oh gil Kwon) ; 이재규(Jae kyu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03 (2019-06)
페이지 시작페이지(265)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노인요양시설; 공간테라피; 감각적 요소; 치유정원; 치유환경 요소//Nursing Homes; Spatial Therapy; Sensible Elementst; Therapy Garden; healing environment element.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고령화 사회는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수요의 증가를 유발하여 노인요양시설에 관한 공간 연구는 중요하다.
공간테라피는 환자의 질병을 의학적인 치료를 통해 회복시켜주는 것 이상의 의미로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사회적, 기능적, 인지적 요소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공간테라피의 물리적 환경 요소 중에서 치유정원 조성을 위한 치유환경 요소의 세부적인 내용들 중심으로 평가하고 분석해 노인환자에게 치료와 치유적 환경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범위와 방법은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노인의 특성, 노인요양시설과 공간테라피의 구성요소, 물리적 환경 요소를 감각적 요소로 분석하여 연구한다. 둘째, 치유정원 이론적 고찰에서 치유정원의 개념, 목적, 특성을 연구하고 치유정원의 치유환경 요소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각 항에 맞는 세부내용을 통해 사례분석을 한다. (결과) 치유정원의 치유환경 요소 평가지표는 접근성, 안전성, 다양성, 편의성, 활동성, 개방성이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5개 노인요양시설 모두 치유환경 요소 평가지표 항목에서 접근성과안전성, 개방성은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 5개 노인요양시설 모두 활동성은 미비한 평가를 받았으며 체험프로그램은 실내에서 진행하는 원예프로그램 위주로 이루어졌다. 5개 노인요양시설의 치유정원에는 환자가 응급상황에서 의료진이나 요양시설에 연락할 수 있는 시설이 한 군데도 설치되어 있지 않아 환자의 위급상황 연락을 위해 시급한 설치가 필요하였다. (결론) 치유정원의치유환경 요소는 적극 도입되어야 한다. 첫째, 치유정원은 환자들의 신체적, 심리적인 접근성을 높이도록 노인환자의 보행거리와 시간을 고려해 생활공간과 가까운 곳에 계획한다. 둘째, 노인 환자의 특성을 고려해 응급 연락시설을 설치하여 편의성을 향상한다. 셋째, 과거의 추억과 경험을 회상하게 하는 친숙한 자연요소를 정원디자인에 적용한다. 넷째, 계절과 관계없이 체험활동이가능한 공간과 공동놀이 공간, 문화 예술을 느낄 수 있는 공연공간을 설치한다. 다섯째, 작업치료와 원예치료 관련 프로그램을다양하게 계획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s an aging society gives birth to a rising demand for nursing homes, the study of the spaces related to nursing homes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Spatial therapy is a concept that goes beyond assistance for the recovery of patients from diseases through medical treatment and encompasses environmental, psychological, social, functional, and cognitive elemen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 therapeutic and healing environment for elderly patients through evaluation and analysis focusing on specific details of the environmental healing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a therapy garden among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spatial therapy. (Method) Regarding the scope and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components of nursing homes and spatial therapy,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nsory elements,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Second, this theoretical review of the therapy garden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the concept,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a therapy garden and deriving the evaluation indices of the healing environmental elements of a therapy garden, thus analyzing the practical cases based on specific details matching each item. (Results) The evaluation indices for the healing environmental elements of a therapy garden were accessibility, safety, diversity, convenience, activity, and open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5 nursing homes received good evaluations in terms of accessibility, safety, and openness on the items related to evaluation indices for the healing environmental elements. The experiential programs were composed mostly of gardening programs that were conducted indoors. Specific details of the 5 nursing homes were analyzed in terms of diversity,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ew or no waterscape facilities or lawn areas. The therapy gardens in the 5 nursing homes were not equipped with any means of contacting the medical staff or nursing facility in an emergency. Thus, there was an urgent need to install devices allowing the patients to contact medical staff or the nursing facility in emergencies. (Conclusions) The healing environmental elements of a therapy garden would need to be introduced actively. First, therapy gardens should be planned at the locations near the living space by considering the walking distance and the amount of time it would take the elderly patients to reach the locations to improv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cessibility of the gardens to the patients. Second, emergency communication devices would need to be installed in view of the needs of the elderly patients to increase their convenience. Third, familiar natural elements reminiscent of old memories and experiences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garden design. Fourth, a performance space would need to be installed, allowing the elderly patients to gain hands-on experience of culture and the arts, along with a space to provide such experiences throughout the year and a group entertainment space. Fifth, various programs related to work therapy and gardening therapy should be planned.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노인요양시설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최남석(Choi, Nam-Seok) ; 김동훈(Kim, Dong-Hoo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1 (201904)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치유정원 조성을 위한 계획요소의 중요도 분석
정명자(Jung, Myoung-Ja) ; 박원규(Park, Won-Kyu) -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ol.45 No.4 (201708)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치유개념이 적용된 복합문화공간 사례 연구
임종훈(LIM Jonghoon) ; 전재현(CHUN Jae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9 No.04 (201412)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