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도시적 관점의 경관계획 및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rban-landscape Planning and Evaluating Framework on Urban Level
저자명 이광영(Gwang Young Lee) ; 경학봉(Hak-Bong Kyoung)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04 (2019-08)
페이지 시작페이지(81) 총페이지(10)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도시경관계획; 경관디자인; 시각적경관분석; 시각적도시경관평가; 인간 지각-인지특성//Urban Landscape Planning; Landscape Design; Visual Landscape Analysis; Visual Urban Landscape Evaluation; Human Conceptual-Cognitive Characteristics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도시경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름다운 도시를 창출하기 위한 각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커지고 있다. 2007년 경관법이 제정된 이후 경관계획에 대해, 또 그것을 평가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10년이상이 지난 지금도 건축적 영역과 공공디자인적 영역, 경관적 영역의 구분이 모호하고, 경관계획을 평가하는데 있어 검토하고 있는 요소들은 합리적, 규범적인 접근을 통한 평가항목인지에 대한 의문점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점은 정부의 경관계획수립지침에 따른 경관체크리스트를 분석하며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규범적이고 현상학적인 접근을 통해 도시적 경관계획을 시행하고 평가하는데 있어 분석의 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범위 및 방법)본 연구의 범위는 최근 천안시와 아산시 도시개발 사업에서 경관심의 시 적용된 건축적, 공공디자인적, 도시적 차원의 경관계획 내용을 분석한다. 그리고 내용적 범위는 도시적 경관을 대상으로 하며 그 분석방법은 규범적이고 형상학적인 접근방법과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도시적 차원의 경관계획을 시행하고 평가하는 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 선행연구의 고찰결과를 통해 인간의 지각,인지적 특성에 따른 근거에 의하여 건축적 스케일의 접근요소와 공공디자인적 요소들을 제외하고 도시적 차원의 경관계획 접근 요소 16가지를 도출하였고, 그에 대한 세부 내용으로 28가지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규범적이고 형상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상관성분석을 통해 도출된 체크리스트에서는 기존의 건축적 스케일의 건축항목을 제외하고 도시적 차원의 접근을 통한 경관계획요소가 구성되었다. (결론)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관계획을 평가하는데 있어 평가항목을 토지이용, 도시적맥락, 환경ㆍ생태, 도로, 오픈스페이스, 도시실루엣, 스카이라인, 건축물의 규모ㆍ용도, 건축물의 배치ㆍ형상, 공원ㆍ녹지계획, 건축물의 외관, 건축물의 간격, 대지내의 조경, 시설물의 색채, 야간조명 및 기타시설물 등 총 16가지를 도출하였고, 규범적이고 현상학적 접근인 상관성분석을 통해 경관계획 분석의 틀을 만들고 경관계획의 평가방향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도시경관을 형성하고 평가하는데 있어서 건축적인 접근과 도시경관적 접근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고, 경관평가를 하는데 있어 분석의 틀을 통해 더욱 합리적이고 규범적인 접근의 평가를 할 수 있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As an interest of urban-landscape has increased recently,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to create beautiful cities are increasing. Although a lot of studies and evaluations on urban-landscape planning have been done since the enactment of the 2007 national urban-Landscape Act, the diffrence between architectural, public design, and urban-landscape design is still vague even more than 10 years from there and the elements reviewed in evaluating the urban-landscape plan have left the question of whether those are evaluation items through prescriptive approach. This could be confirmed by analyzing the urban-landscape checklists according to the guideline for urban-landscape planning of government. This study is aim to propose the framework of analysis for evaluating the urban-landscape plan through the normative and phenomenological approach. (Method)The scope of this study is in urban landscape planning except for architectural and public design scale, and urban development projects where is developed in Cheonan city and Asan cit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done by the method of normative and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correlation analysis to verify the diffrence and vague between architectural design , public design, and urban-landscape design in urban landscape planning. (Result)Therefore, it was tried to derive the urban-landscape planning elemen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previous theoretical research and while the architectural scale approach elements and public design elements are excluded by human conceptual-cognitive characteristics which had been clarified by previous theory among the derived elements, it has derived 16 types of approach elements on the urban level, and 28 kinds of detailed contents have been derived. The reconstructed checklist was built as a urban-landscape planning element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except the existing architectural scale of architectural items. (Conclusion)Thus, this study creates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the evaluation of the urban-landscape planning by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items are derived into 16 kinds in total in evaluating a urban-landscape plan, such as use of land, urban context, environment and ecology, road, open space, urban silhouette, skyline, size and use of building, layout and shape of building, planning of park and green space, appearance of building, space between buildings, urban-landscape of site, color of facilities, and night lighting and other facilitie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architectural approach from urban-landscape approach in evaluating urban-landscape planning in the future, and the framework of analysis in urban-landscape planning evaluation can be made by evaluation of the normative and phenomenological approach.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건축물 경관심의제도 현황 및 심의결과 분석에 관한 연구
윤성훈(Yun, Sung-Hu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20 No.1(통권 제91호) (2019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경관향상을 위한 도시특성별 건축물 높이 관리 방안 연구
이상민 ; 서남희 - 연구보고서(정책) : 2010 n.6 (201011)
건축물 경관심의제도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이민수(Lee, Min-Soo) ; 이창엽(Lee, Chang-Yeob) ; 김경배(Kim, Kyung-Bae)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6(통권 제84호) (201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그리드체계의 변형을 통한 형태생성프로세스 연구
한상길 ; 이공희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22호 (200806)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