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교실공간의 재구조화 유형 / Restructuring Types of Classroom Space
저자명 이승헌(Seungheon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05 (2019-09)
페이지 시작페이지(53)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교실공간; 재구조화; 유형; 학교; 공간 혁신//Classroom Space; Restructuring; Types; School; Space Innovatio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모든 학생들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12년의 수학기간 동안 교실공간에서 생활하게 된다. 여기서 학습을 기본으로, 놀이와 휴식, 식사 등의 다양한 행위를 한다. 학생들에게 교실공간은 학습의 성과를 차체하고서라도, 정서적으로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런 중요성에 비하였을 때, 우리나라 각 학교의 교실공간들은 여전히 관리 중심의 전근대적인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적 현상이 많이 바뀌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편복도로 이어지는 같은 크기, 같은 모양의 교실공간은 거의 변함이 없다. 최근 들어 학교공간의 혁신적 디자인에 대한 기대감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교실공간의 형태를 재구조화 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 학생들의 정서발달에 긍정적 작용을 기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들이 전국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교실공간에 대한 재구조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재구조화와 관련된 최근의 다양한 시도들을 분석하여 그 유형적 특징을 정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학교공간을 혁신하기 위하여 몇몇 시도교육청에서 진행된 최근 몇 년간의 사업들에서 다양한 결과물들이 산출되었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최종 결과물을 백서로 발간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한 바 있는 사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학교 내 운동장, 야외공간, 로비, 복도 및 계단, 특별실, 도서실 등에 대한 창의적 디자인을 제안한 사례도 많이 있었지만, 본 연구의 성격에 부합하는 기존 교실 공간에 대한 재구조화 사례들만 추출하여 분석한다. (결과) ‘교실공간의 재구조화’는 새로운 시대, 새로운 사회적 현상에 적합한 새로운 교육환경을 제공함에 있어 필연적 선택이 아닐 수 없다. 학습편성의 다양화, 활동형식의 다양화, 수업시간 외의 활용 등의 다양한 학습활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틀을 벗어난 공간의 변화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최근 사례들의 분석을 토대로 재구조화의 유형들은 크게 7가지(삽입, 경계, 확장, 변형, 연결, 분절, 가변)로 정리할 수 있었다. 7가지의 유형과 각각의 특징은 기존의 환경에 대한 재구조화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이를 바탕으로 또 전혀 다른 방식의 유형을 창출하는데 있어 비판적 기초자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결론) 교실은 더 이상 과거 문맹률을 없애려 노력했던 시절의 효율중심적인 형태를 유지해서는 안된다. 보편적 학문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규격화되고 획일화된 교실의 형태에서 벗어나 현대사회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새로운 공간의 혁신이 이루어져야 할 때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ll the students learning curriculums during the 12 years of their studying period from elementary, middle, to high school should live in the classroom. They do various activities such as playing, resting, and eating as well as learning here. For students, classroom space is an environment that has profound emotional impact not to mention learning outcomes. However, given its importance, classroom spaces in Korea still remain in the premodern management-centered form. Despite many changes in social phenomena and various attempts at educational programs, the same size and the same shape of classroom space connected by single corridor remain almost unchanged. Recently, expectations are growing for innovative designs in school spaces. In particular, new attempts which can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are being made across the country to maximize learning effects by reorganizing the stereotyped classroom spaces. So this study is going to bring up the need for re-structuring of existing classroom spaces, and analyze various recent attempts related to classroom restructuring to sort out its tangible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 In recent years, various outcomes have been produced in projects undertaken by several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to innovate school spaces. Above all, this research took as analytical objects projects which had provided comprehensive information by publishing the final results as white paper. In addi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ich proposed creative designs for playgrounds, outdoor spaces, lobbies, hallways, staircases, special rooms, and library in schools, this research only selected and analyzed only the cases of restructuring of existing classroom spaces which conform to the character of this study. (Results) ‘Restructuring of classroom space’ is an inevitable choice to provid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a new era, and a new social phenomenon. Changes in space beyond the existing framework must be accompanied in order to cope wit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such as diversification of learning compilations, diversity of activity types, and use except for the class hour. Based on the analysis of recent cases, this research classified restructuring into seven types (insert, boundary, extension, deformation, connection, division, and variability). They can be used for alternatives for restructuring, or could work as sources for creating a completely different type of method. (Conclusion) Classrooms should no longer retain the efficiency-oriented form of the time when they tried to eliminate illiteracy in the past. It is time for innovation to new space to meet the purpose of education in modern society, escaping from the standardized and uniform classroom forms that are suitable for conveying universal learning.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학교공간혁신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공간플랫폼 제안
박병준(Park, Byoungjoon) ; 조택연(Cho, Taig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6 No.04 (202106)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고교학점제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손석의(Son, Suk-Eui)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2 No.01 (201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