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공간디자인 분야에서의 헬스케어디자인 연구 경향 분석 / A Meta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of Healthcare Design in Spatial Design Field
저자명 이민아(Mina Lee) ; 박혜경(Heykyung Park) ; 오찬옥(Chanohk Oh) ; 백지원(Jiwon Baik) ; 김석태(Suktae Kim)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07 (2019-12)
페이지 시작페이지(37) 총페이지(14)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헬스케어디자인; 공간디자인;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 경향; 메타분석//Healthcare Design; Spatial Design;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Trend; Meta Analysis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화된 현대사회는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양한 분야에서 헬스케어디자인에 주목하였고, 이는 헬스케어 환경인 공간디자인 분야에 집중되어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간을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하여, 헬스케어공간디자인이 갖는 현시점의 쟁점과 미래의 연구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재까지 축적된 헬스케어공간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체계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의 경향 분석을 위해, 2018년 11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키워드 검색, 학술지 분야 한정, 전문가 5인 판단으로 총 499건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1) 헬스케어디자인에서의 공간 의의를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공간을 개념화하여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의 의미를 밝히고, (2) 헬스케어디자인 관련 키워드로 KCI 시스템으로 대상논문을 추출하고, (3)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를 시계열, 연구방법, 그리고 대상공간, 중점 행위자, 디자인 요소 등의 공간디자인 하위주제를 유형화 하여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메타분석 결과, (1)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는, 2002년을 시작으로 전통적 헬스케어디자인 범주인 환자와 의료인의 행위 영역인 병원 중심에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고령자복지공간으로, 그리고 일반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일상공간까지 헬스케어공간이 확대되며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2) 연구방법으로 사례분석, 설문조사, 실험 및 평가가 수행되어,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된 결과물의 방향성 제시를 위해 실증적 연구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3) 효과적인 헬스케어공간 구현을 위해 공간디자인 요소를 단일 요소가 아닌 복합적으로 제시하는 연구 경향을 발견하였다. 또한 (4) 공간의 주된 기능이 직접적인 의료를 위한 공간뿐만 아니라, 타 기능의 공간에서도 정신적?육체적 건강 기반의 삶의 질 향상을 요구하는 사용자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 경향도 발견하였다. (결론)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를 메타분석한 본 연구는 전반적인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1차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로, 헬스케어디자인을 통한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이 갖는 시지각적 결과물의 방향성을 발견하는 데 의미 있는 연구이다. 앞으로 공간 이외의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디자인 연구 경향도 분석하여, 각 디자인 분야별 헬스케어디자인 연구가 주목한 쟁점을 비교함으로써 헬스케어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종합적 디자인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y life, the aging modern society has paid attention to healthcare design in various fields, which was mainly researched in the spatial design field of a healthcar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research on healthcare spatial design to date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healthcare design centering on spaces to provide materials for current issues and to predict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Method) Met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by selecting 499 papers in total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until November 2018, from keyword search, limited to journals, and 5 experts' judgement. In this study, (1) the healthcare space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space in healthcare design was conceptualized to reveal the meaning of research on healthcare spatial design, (2) subject papers were extracted by the KCI system with keyword related to healthcare design, and (3) as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the trend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sub topics of spatial design such as time series, research methods, target space, key actors, and design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meta analysis, (1) the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taring from 2002 with expanding healthcare spaces from a traditional healthcare design category focusing on hospital, the area of behavior of patients and medical professionals, to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and even to everyday spaces for healthcare. (2) As research methods, empirical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analysis, survey, experiment and evaluation were mainly carried out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ser-centered design results, and (3) the trend of research was found that suggests spatial design elements in complex rather than single to realize effective healthcare spaces, and Also, (4) the research trends was found that deal with users who dem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not only in the space for direct medical care but also in other functional spaces. (Conclusions) This study, which meta analyzes the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is a follow-up to the first study that analyzes the trend of overall healthcare design research, and is meaningful to find the direction of visual and perceptual results of the user's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healthcare design. By analyzing the trend in healthcare design research focusing on design other than spa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material for enabling comprehensive design prediction for healthcare design in the future by comparing issues of healthcare design research in each design sector.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우울증상 치유를 위한 실내 휴게공간 환경색채모델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30 No.3(통권 146호) (202106)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행동·감정체계 유형에 따른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 특성 및 실내공간 색채감정
하지민(Ha, Ji-Min) ; 박수빈(Park, Soobee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09 (201809)
어린이환자의 공간사용 행태에 관한 연구
최인영 ; 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6(통권 107호) (201412)
놀이행태 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6(통권 131호) (20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