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100 포인트 ]
논문명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 방향 연구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대상지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stainable Regeneration Direction of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 Focused on the Culture Regeneration Business in Industrial Complex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
저자명 이상균(Sanggyun Lee) ; 이금진(Kumjin Lee)
발행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수록사항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4 No.07 (2019-12)
페이지 시작페이지(87) 총페이지(12)
ISSN 1976-4405
주제분류 계획및설계 / 도시
주제어 유휴산업시설; 복합문화공간; 문화재생사업; 지속가능성; 리노베이션//Idle Industrial Facility; Complex Cultural Space; Cultural Revitalization Project; Sustainable; Renovation
요약1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발전에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기존 산업시설들이 기능을 상실하고 방치되어 유휴산업시설들이 생겨났다. 방치된 유휴산업시설들은 도시의 경관을 저하하고, 도시쇠퇴를 유발하는 지역혐오시설로 전락하였다. 하지만 유휴산업시설은 물리적 형태뿐만 아니라 산업화시대의 경제적?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던 자산으로 비물리적 가치가 있다. 이와 함께 현대인들의 체험형 예술문화교육과 유휴산업시설의 활용방안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지역 재활성화를 목표로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문화재생사업은 유휴공간을 문화와 예술, 지역사회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가진 공간으로 재창조하고 주민, 근로자, 지역 예술인에 문화향유 확대 및 지역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산업자산의 가치를 갖는 재생사례들이 사업지원이 이후 운영의 전문성 결여, 운영주체의 의지 부족, 프로그램 다양성 등의 문제로 다시 유휴시설로 되돌아가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이 지속운영 가능한 창의문화 중심의 사회적 플랫폼 구축의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재생사업대상지들의 추진체계 및 현황을 조사하여 각 사례 간 프로그램 및 공간의 특이점을 도출하고 종합 분석하여 사업지원 이후에도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의 방향성을 제안하도록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개념과 재생가치를 종합한다. 선행연구 및 사례의 공간특성을 분석하여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과 공간의 특성을 분석한다.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대상지를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별로 사례를 분류하여 분석한다. (결과) 총 10곳의 대상지를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프로그램특성(입주작가 지원공간, 상업시설, 전시?교육)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입주작가 지원프로그램 및 상업시설을 겸비한 사례가 사업이 끝난 후에도 안정적 운영이 되고 있다. (결론)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이 지속운영 가능하기 위해서는 시범운영 프로그램부터 리노베이션 과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개관 후에는 입주작가 프로그램으로 전문적인 체험?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상업시설로 자생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요약2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 in the industry existing industrial facilities are malfunctioning, and they are left idle industrial facilities emerged. The neglected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reduced to local hate facilities that degrade the city's landscape and cause urban degradation. However, idle industrial facilities are of non-physical value, not only in physical form but also as asset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era of the industrial age. In addition,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modern people's experiential art culture education and the util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The Culture Regeneration Business in Industrial Complex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is being promoted. The Cultural Regeneration Business aims to recreate the idle space as a place of social valu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 art, and community, and to expand cultural enjoyment to residents, workers and local artists and revitalize the region.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regeneration cases with industrial asset value return to idle facilities due to lack of professionalism in operation, lack of will of the operator, and diversity of programs. In this study, we will explore ways to successfully build a social platform centered on a sustainable creative culture that utilizes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vestigate the propulsion system and current status of regeneration project sites to derive uniqueness of programs and spaces between each case, and comprehensively analyz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generation that can be operated even after project support. (Method) Through prior research, the concept of a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value of regeneration are synthesized.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ior research and cas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spaces tha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complex cultural spaces. Case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programs affecting sustainability at ‘The Culture Regeneration Business in Industrial Complex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Results) A total of 10 si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rogram characteristics (resident artist support program, commercial facilities, exhibition and education) tha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Cases involving both resident and commercial facilities have become stable operations even after the project is completed.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hat the renovation process is carried out in stages from the pilot operation program in order to enable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fter the opening, the residency program will provide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it should be reborn as 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self-sustainability as a commercial facility.
소장처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박소현 - 건축과 도시공간 : Vol.38 (2020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린(Soolin Park) ; 이정교(Jung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13 No.06 (201812)
도심 중·소규모 폐산업시설 재생 건축 계획 특성 조사연구 - 성수동 일대 복합문화공간 사례 중심으로 -
정영호(Jeong, Young-Ho) ; 이상윤(Lee, Sang-Yu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9 No.1 (201904)
근대 건축의 가치를 반영한 리노베이션과 보존에 관한 연구
최상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1(통권 102호) (201402)
리노베이션을 통한 유휴산업시설 재생 사례에 대한 연구
손기준(Son, Ki-Jun) ; 주범(Chu, Beom)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 통권 제48호 (201411)